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잡초처럼 되살아난 이재명…사법리스크가 존재감만 키웠다(종합)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항소심서 극적인 반전 이뤄
중도층 비토세력 끌어안기
민생에 역량 집중 여지 열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와 관련해 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으며 대권 가도에 청신호가 켜졌다. 조기 대선이 현실화할 경우 당내 경선에서 이 대표를 중심으로 한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구도가 더 공고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27일 정치권은 이번 판결로 인해 이 대표 대선 출마의 장애물은 사실상 사라진 것으로 보고 있다. 정성호 민주당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조기 대선이 있다고 하면은 조기 대선 걸림돌은 상당 부분 제거된 게 아닌가 이렇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 대표가 이번 2심 무죄 판결로 얻는 가장 큰 이점은 중도층 내 ‘비토 세력’을 끌어안을 가능성이 커졌다는 대목이다. 합리성과 도덕성을 중시하는 중도보수, 무당층 등에서 지지율 상승 여지가 크다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2020년 7월 당시 경기도지사였던 이 대표는 대법원이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등 사건에 대해 무죄 취지 파기환송 하며 지지율이 급상승한 바 있다.

민생에도 역량을 집중할 수 있게 됐다. 실제 이 대표는 2심 무죄 선고 직후 산불 피해지역인 경북 안동으로 이동해 피해 주민을 위로하는 등 민생일정에 들어갔다.


비명계는 당장 ‘후보 교체론’ 주장에 힘이 빠지면서 입지가 좁아질 공산이 커졌다. 그간 이 대표의 선거법 2심 중형을 염두에 둔 대체 후보 양성 주장의 근거가 약해졌기 때문이다. 비명계 일부 주자는 당내 경선 자체를 포기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은 속수무책인 상황이다. 일단 대법원의 판단을 받아야 한다는 목소리를 앞다퉈 내고 있지만 고민이 커졌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무죄 결정을 내리고 나서 논리를 꿰맞춘 것"이라며 "대법원에서 바로잡아야 사법부의 권위 되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법원에서는 무죄확정 또는 파기환송뿐인데 조기대선 국면이 펼쳐질 경우 선거 전에 결론이 날 가능성은 낮다.

일각에선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에 기댄 전략에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 대통령이 파면돼 조기 대선 국면이 열릴 경우 이 대표를 흔들 수 있는 핵심 카드가 힘을 잃을 수 있어서다. 여당은 그간 ‘이재명 망언집’까지 낼 정도로 이 대표 공세에 화력을 집중해왔다.


조기 대선 시 이 대표의 독주를 막을 뚜렷한 범여권 후보가 아직 드러나지 않은 점도 우려를 키우는 대목이다. 여권 관계자는 "2심 판결 후 사실상 조기 대선 행보에 돌입한 이 대표와 달리 시간도 부족하고 존재감을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는 대항마가 없는 점은 고민"이라고 했다.


한편 이 대표는 거듭되는 사법리스크에서 전화위복을 거뒀다는 평가가 나온다. 2023년 체포동의안이 당내 반란표로 통과됐지만 구속영장이 기각된 뒤 당내 공천을 거쳐 당을 완전히 장악하게 됐다. 가장 위험했다는 위증교사 관련 1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으면서, 공직선거법 1심으로 몰렸던 위기 국면을 반전시켰다. 이후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까지 선포했다 탄핵소추되면서 정국 주도권이 야당에 넘어간 상황이다. 이제 이 대표로서는 조기 대선 국면과 관련해 윤 대통령 탄핵심판 외에는 변수가 사라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