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훈련, 예년에 비해선 저조
"연이은 담화전-핵능력과시, 몸값 올리기"
북한이 올해 들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3000여명을 추가 파병한 것으로 확인됐다. 북한 측은 병력뿐 아니라 러시아에 대한 미사일, 포병 장비 및 탄약 지원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1~2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3000여명 이상을 추가 파병했다. 이는 기존 파병된 북한군 1만1000여명 중 사상자가 4000여명 발생한 데 따른 증원 개념이다.
북한은 병력뿐 아니라 미사일, 포병 장비, 탄약 지원도 이어가고 있다. 북한은 지금까지 러시아 측에 상당량의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과 함께 170㎜ 자주포, 240㎜ 방사포 220여문을 지원한 것으로 평가된다. 합참은 "전황에 따라 (지원량은)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북한은 또 이달 초부터 지난해 말 동계훈련을 위해 일시 중단했던 전선 지역 작업을 재개했다. 지난해 실시했던 지역 위주로 수십~수백 명을 투입해 북한 자신을 봉쇄하는 철책 보강 등의 작업을 진행 중이다. 특히 최근엔 지뢰 폭발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진다. 합참 관계자는 "교대 투입 병력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한 작업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북한군 동계훈련은 지난해 12월부터 실시되고 있는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대대장·대대 정치지도원 대회 및 국방성 방문 시 ‘현대전 요구에 맞게 훈련’, ‘훈련의 해’를 강조한 것에 비해서는 예년 대비 병종별 훈련이 다소 저조한 것으로 보인다는 게 합참의 판단이다. 합참은 "지금까지의 훈련 저조는 지방공장 건설·전선 지역 작업 등 각종 노력 동원, 러시아 추가 파병 준비, 고질적인 에너지난 등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한편 북한은 지난해 말 '초강경 대미대응전략'을 공표한 이후 한미 연합훈련, 미국 측 전략자산 전개 등을 구실삼아 연쇄적인 담화전 전개, 핵 능력 과시를 이어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2기 행정부 출범을 계기로 '몸값 올리기'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양상이다.
북한은 자유의방패(FS) 연습 이후 10여회의 담화·논평을 내 우리 측을 비난하고 있다. 김여정이 "전략적 수준의 위혁적 행동"을 거론했으나 현재까지 특이동향은 식별되지 않고 있다는 게 합참의 평가다. 단, 합참은 과거 도발 사례와 최근 한미연합훈련에 강력대응을 예고한 점을 고려할 때 다양한 전략·전술적 도발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감시 및 대비 태세를 강화 중이다.
또 북한은 올해 전년 동기(7회) 대비 감소한 4차례의 미사일 발사를 공개했다. 그러나 합참은 고체 추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극초음속미사일, 잠수함탄도미사일(SLBM), SRBM 등 발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한미 정보 공조 아래 예의주시하고 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