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車시장, 여전히 내연기관·하이브리드 강세
차량공유, 대세 속 한국은 아직 '관망'
올해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여전히 전기차 판매 성장이 주춤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여전히 전기차보다는 내연기관 차량과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선호가 유지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차량공유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 젊은 층을 중심으로 번져나갈 것으로 예상됐다.
18일 한국딜로이트그룹은 세계 30개국 3만1000명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2025 글로벌 자동차 소비자 조사'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분석했다.
내연기관·하이브리드 선호 여전
보고서에 따르면 여전히 전기차보다 내연기관 차량과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선호가 유지되고 있다. 미국 62%, 동남아시아 및 인도 54%, 독일 53% 소비자가 가솔린 및 디젤(ICE) 차량을 선호했다. 배터리 전기차(BEV) 선호도는 각각 5%, 11%, 8%, 14%에 그쳤다. 한국과 일본은 하이브리드(HEV) 선호도가 각각 31%, 35%를 기록했다.
소비자들은 전기차의 긴 충전 시간, 짧은 주행거리, 비용, 충전 인프라 부족, 배터리 안전성 등을 여전히 우려했다. 중국 전기차 '지커'가 초고속 충전소 이용 시 10분 30초 만에 최대 80%까지 충전되는 배터리를 공개한 가운데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소비자들은 충전소 접근성, 보안 및 편의 시설보다 빠른 충전 시간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한편 우리나라 소비자의 31%는 전기차 배터리 후처리 및 재활용 책임의 주체로 완성차 제조기업을 꼽았다. 일본(35%)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이었다. 이어 배터리생산기업(23%), 배터리 재활용 전담기업(11%) 등의 순서였다. 일본의 경우 차량 딜러에게 책임이 있다고 답한 이들의 비율도 23%로 중국과 함께 가장 많았다.
전기차 선호 소비자들은 연료비 절감, 환경에 대한 우려, 조용함이나 향상된 차량 성능 등을 구매 결심 이유로 꼽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낮은 연료 비용(57%)’, ‘환경에 대한 우려(43%)’, ‘낮은 유지 및 관리 비용(38%)’, ‘정부 인센티브 및 보조금 구매촉진 프로그램(35%)’ 순이었다.
젊은 세대 중심 차량공유 선호 증가
18~34세 사이의 소비자 중에서는 차량 소유를 포기하고 차량 구독 서비스를 고려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재정적 부담을 줄이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국가별로 차량 구독에 대한 선호도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인도와 중국에서는 차량 소유를 포기하고 서비스형모빌리티(MaaS)를 이용하겠다는 응답이 각각 70%, 54%로 가장 높았다. 다만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차량 운행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음에도 불구하고 이 비율이 각 37%, 38%에 그쳤다.
한편 중국 소비자의 절반 이상(55%)은 이전 차량과 동일한 브랜드의 차량을 구매하고 약 3분의 1은 현재 차량이 첫 차량이라고 답했다. 중국 시장에서는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려는 전략이 중요해진 셈이다. 한국(48%), 영국(51%), 미국(하는 등은 현재 차량과 이전 차량이 다르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 차량 구매 브랜드 선호도로는 일본(76%), 인도(49%), 한국(48%) 소비자는 자국 자동차 브랜드를 선호한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반면 영국은 이 답변 비율이 19%에 불과했다.
김태환 한국 딜로이트 그룹 자동차산업 전문팀 리더는 "탄소 무배출 차량으로의 전환과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트렌드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로 부각되고 있다"라며 "연결성(커넥티비티)과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은 모빌리티의 발전을 견인하는 한편, 자율주행차 및 MaaS에 대한 입체적인 접근도 급부상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