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브레인 '흡연 실태 및 전자담배 관련 조사'
10명 중 8명 "우리나라 흡연 규제 엄격해질 필요 있어"
일반 연초담배에서 전자담배로 흡연 방식의 전환이 점차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전자담배에 대한 상대적으로 관대한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일반담배와 동일한 수준의 규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시장조사기업 엠브레인이 전국 만 13~69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흡연 실태 및 전자담배 관련 조사'에 따르면 흡연자의 주요 흡연 방식으로는 일반 연초담배가 63.4%로 가장 높았고 궐련형 전자담배 22.6%, 액상형 전자담배 14.0%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 흡연자의 주요 흡연방식은 전체 흡연 양태와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여성 흡연자의 경우 28.6%가 '액상형 전자담배를 활용한다'고 응답해 남성(10.6%)보다 세 배 가까이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대체로 3040세대의 궐련형 전자담배 이용 비중이 타 연령층 대비 높았다. 특히 40대에서 궐련형 전자담배 비중이 40.4%로 가장 높았는데, 액상형 전자담배(12.8%) 사용자까지 더하면 유일하게 전자담배 사용 비중이 일반담배보다 높았다. 반면 50대 이상은 80% 이상이 여전히 일반담배를 주로 피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담배 흡연자의 경우 '몸에 담배 냄새가 나는 것이 싫고'(54.9%, 중복응답), '일반담배보다 연기나 냄새가 적다'(46.9%)는 점이 전자담배를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였다. 실제로 응답자의 절반가량이 '전자담배는 일반담배에 비해 상대에게 불쾌감을 덜 유발하는 편'(53.1%)이고 '거부감이 적다'(48.5%)고 평가할 정도로, 전자담배에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태도를 엿볼 수 있었다.
특히 20대 저연령층에서 '전자담배는 일반담배에 비해 냄새가 괜찮고'(10대 54.5%, 20대 72.0%, 30대 57.5%, 40대 54.0%, 50대 46.5%, 60대 31.0%), '건강에 덜 해로울 것 같다'(10대 27.5%, 20대 39.5%, 30대 30.0%, 40대 20.0%, 50대 14.5%, 60대 14.5%)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는 등 일반 담배보다는 전자담배가 그나마 괜찮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럼에도 전자담배 역시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경각심은 여전히 높은 편이었다. '일반담배와 전자담배 모두 비흡연자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90.8%, 동의율)이고, '전자담배로 인한 간접흡연도 엄연히 피해'(90.8%)라는 응답이 다수를 이뤄 피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큰 모습을 보였다. 나아가 '전자담배도 일반담배와 똑같이 해롭다'(89.8%)는 인식이 확대되고, '전자담배라고 해서 괜찮을 것이란 인식은 사라질 필요가 있다'(88.5%)는 의견을 보여 전자담배에 대한 인식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모습도 확인됐다.
전자담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향후 전자담배 또한 일반담배와 동일한 수준으로 규제해야 한다'(66.8%)는 의견이 중론으로 자리 잡고 있는 모습이었다. 최근 유럽에서 발표되는 전자담배 규제 강화 정책을 자세히 인지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지만(처음 들어봄 54.6%, 들어는 봤지만, 자세한 내용은 모름 41.8%), '글로벌 흐름에 맞춰 우리나라도 규제 확대가 필요하다'(75.0%)는 데는 공감하는 태도를 보였다. 특히 '청소년의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서라도 전자담배 규제를 확대해야 한다'(81.1%, 동의율)는 인식이 뚜렷한 편이었는데, 이는 전자담배가 일반담배보다 덜 해롭다는 오해로 인해 초기 흡연 수단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나아가 금연 정책과 담배에 대한 전반적인 규제 강화의 필요성도 높게 평가됐다. 전체 응답자의 대다수가 '우리나라 공공장소의 흡연 규제가 더 엄격해져야 한다'(84.7%)는데 동의했으며, '비흡연자를 배려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응답은 82.7%에 달했다. 엠브레인 측은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비흡연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규제 강화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구은모 기자 gooeunm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