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1인 1닭은 국룰"…'年20마리' 먹는 한국인, 20년 전 두 배 소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복날 있는 7월이 최성수기…1억마리 도축
1인소비량, 美·EU보다 적고 中·日보다 많아

지난해 한국인 1인이 평균적으로 소비한 닭고기는 20마리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통계를 보면 작년 국내 닭 도축 마릿수는 10억1137만마리로 10억마리를 넘어섰다. 이를 인구(약 5000만명)수로 나눠 단순 계산하면 한 사람당 20마리를 먹은 셈이다. 그러나 닭고기 수입량은 수출량보다 훨씬 많다. 작년 국내 소비량이 78만9000t(톤)으로 생산량(60만7000t)을 30% 웃돈 것을 고려해 국내에서 도축한 닭고기와 수입 닭고기를 합치면 1인당 26마리를 먹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초복을 사흘 앞둔 지난 12일 서울 종로구 자하문의 한 삼계탕집을 찾은 손님들이 줄을 서서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초복을 사흘 앞둔 지난 12일 서울 종로구 자하문의 한 삼계탕집을 찾은 손님들이 줄을 서서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AD
원본보기 아이콘

한국인의 닭고기 소비량은 20년 만에 두 배로 늘었다. 지난해 1인당 닭고기 소비량을 무게로 따지면 정육(뼈를 제외한 고기) 기준으로 15.7㎏이다. 1인당 닭고기 소비량은 1970년만 해도 1.4㎏에 불과했으며, 2003년에는 7.8㎏이었다. 따라서 닭고기 소비는 20년 만에 두 배가 됐다.

경제 성장과 비례해 닭고기를 포함한 육류 소비는 계속 늘고 있지만, 닭고기 소비 증가세는 과거보다 둔화했다. 2018년부터 5년간 1인당 닭고기 소비량 연평균 증가율은 2%로, 그 직전 5년간(4.3%)의 절반도 안 되는 수치다. 닭고기를 가장 많이 먹는 시기는 여름으로 특히 초복이 있는 7월의 도축 마릿수는 1억마리를 살짝 웃돌았다. 도축 마릿수가 가장 적은 2월과 비교할 때 3000만마리 더 많은 것이다. 이는 삼계탕이나 백숙 같은 보양식과 '치맥(치킨과 맥주)' 소비 증가로 인한 현상이다.


최근 'K-치킨'이 해외에서도 명성을 얻고 있지만 아직 한국의 1인당 닭고기 소비량은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많은 편은 아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닭고기를 중심으로 한 가금류 1인당 소비량을 집계한 자료를 보면 한국의 올해 소비 추정량은 17.6㎏이었다. 이는 세계 평균(14.6㎏)보다는 많았지만, 1위인 미국(49.3㎏)이나 유럽연합(EU)(23.1㎏)의 양보다는 턱없이 적다.


아시아에서 가장 닭고기를 많이 먹는 나라는 무슬림 인구가 다수라 돼지고기 소비가 적은 말레이시아로, 1인당 가금류 소비량은 47.4㎏에 이른다. 일본과 중국의 1인당 가금류 소비량은 각각 13.4㎏과 14.1㎏으로 한국보다 적다. 인도의 가금류 소비량은 2.2㎏에 지나지 않는다.

한편 지난해 국내 3대 육류 1인당 소비량은 60.6㎏으로 쌀 소비량(56.4㎏)보다 4.2㎏ 더 많았다. 이 중 돼지고기(30.1㎏) 소비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는 닭고기(15.7㎏), 소고기(14.8㎏)의 순이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