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연립 등 주거용이 상승 주도
낙찰가율이 상승하는 것은 경매로 낙찰 받은 금액이 감정가에 가깝게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법원경매정보업체 디지털태인은 지난달 전국 법원 경매의 평균 낙찰가율이 70.4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국의 경매 낙찰가율이 70%를 넘은 것은 지난해 10월(71.82%) 이후 처음으로 지난해 8월(72.48%)의 낙찰가율과 비슷한 수치다.
서울지역 경매 평균 낙찰가율은 82.5%로 지난해 9월 낙찰가율 81.86%를 넘어섰다.
서울지역의 경매 낙찰가율이 80%를 넘은 것은 지난해 9월 이후 처음이다.
낙찰가율 상승세는 아파트, 연립 등 주거용 부동산이 주도했다.
지난달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은 83.72%로 금융위기 직전인 지난해 8월(83.88%) 수준을 회복했다.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은 82.5%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은 지난해 12월 69.23%까지 하락했으나 올해 1월 70.87%, 2월 76.63%, 3월 78.49%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경기도 아파트 낙찰가율도 지난달 85.3%로 4월(76.86%)에 비해 8.44%P 상승했다. 지난해 8월(85.1%) 수준을 회복한 모습이다.
인천 아파트의 낙찰가율은 지난달 86.13%로 지난해 8월(101.59%) 수준에는 못 미치지만 올 들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전국 연립·다세대 낙찰가율은 84.73%를 기록했다.
서울지역 연립·다세대는 지난달 90.28%로 올 들어 처음으로 90%선을 넘어섰다. 경기지역 역시 84.66%로 올 들어 최고치를 나타냈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