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광의통화(M2) 평잔 4227.8조
전월 대비 0.1% 줄어
요구불예금 늘었으나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줄어
시중 통화량이 23개월 만에 줄었다. 지자체가 재정집행에 나서며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이 7조원 이상 줄어든 영향이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월 광의통화(M2) 평균잔액은 계절조정계열 기준으로 4227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 3조8000억원(0.1%) 감소했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등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환매조건부채권(RP) 등을 포함한 넓은 의미의 통화 지표다.
M2는 2023년 5월부터 올해 2월까지 22개월 연속 늘었다가, 이번에 하락 전환했다.
금융상품별로 보면, 수익증권은 예금금리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는 단기 채권형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8조6000억원 증가했다. 요구불예금은 분기말 기업들이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자금을 예치하면서 5조5000억원 늘었다.
반면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지자체의 재정집행 등으로 7조2000억원 감소했다. 기타통화성상품도 해외투자와 수입결제대금 지급에 따라 외화예수금을 중심으로 5조7000억원 줄었다. 금융채는 대출 증가세 둔화 등으로 은행들의 자금 조달 유인이 약화되고 분기말 발행이 축소되면서 4조8000억원 감소했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통화량이 정기 예적금·요구불예금 중심으로 전월 대비 9조원 늘어난 반면 기업은 기타통화성상품 및 MMF를 중심으로 8조9000억원 줄었다. 기타금융기관과 기타부문도 각각 6조3000억원, 1000억원 감소했다.
협의통화(M1) 평잔은 1279조6000억원으로,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이 감소하면서 전월 대비 2조5000억원(0.2%) 줄었다.
금융기관 유동성은 5777조8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0.2% 증가했고, 광의유동성은 7236조원으로 0.3% 증가했다.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중고생 애들 학교는? 집은 어쩌나"…해수부 부산행에 직원 86% 반대하는 이유[관가 in]](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61310470097193_1749779220.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