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너무 잘나간다 했더니 제대로 터졌다…드라마서 매일 찾더니 품절 사태 일으킨 '김밥'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WP, '김밥' 선풍적 인기 집중 조명
"한국 드라마 '우영우'가 촉매 역할"

"김밥은 믿음직스러워요. 재료를 한눈에 볼 수 있어 예상 밖의 식감이나 맛에 놀랄 일이 없습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2022년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주인공 우영우는 매일 아침 김밥을 먹으며 이같이 말한다. 이 드라마 덕에 김밥이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았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17일(현지시각) 워싱턴포스트(WP)는 '편안한 음식인 한국의 김밥은 어떻게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켰나(How Korea's kimbap went from comfort food to global sensation)'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김밥의 세계적 인기를 분석했다.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한 장면. ENA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한 장면. ENA

원본보기 아이콘

김밥이 전 세계에서 주목받게 된 가장 큰 계기로 꼽히는 건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다. 해당 드라마에서 주인공 우영우는 아침마다 김밥을 먹는다. 드라마의 인기와 맞물려 김밥이라는 음식이 세계인의 이목을 끌게 된 계기다. WP는 "이 드라마가 김밥에 대한 드문 스포트라이트를 불러일으켰다"며 "피크닉 밥상에 필수적인 소박한 음식이 주류로 급부상했다"고 묘사했다.

실제 미국 대형마트 트레이더 조는 2023년 8월 냉동 야채 김밥을 출시했는데 몇 주만에 전국 600여개 매장에서 품절 사태를 일으켰다. 대형 마트 코스트코에서도 김밥을 선보이며 세계적으로 확대되는 김밥 시장에 가세했으며 독일과 호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도 김밥집이 문을 열었다. 한식의 역사와 관련한 글을 다양하게 써온 미 빙햄튼대 로버트 구 교수는 "김밥의 세계화는 아주 인상적"이라며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제대로 촉매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한 장면. ENA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한 장면. ENA

원본보기 아이콘

WP는 김밥을 만드는 과정이 복잡한 점을 언급하며 이 때문에 '보살핌'을 의미한다고도 전했다. 뉴욕에서 요리사로 일하고 있는 박은조씨는 김밥이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위안이 되는 음식"이라며 "어머니의 사랑을 뜻한다"고 말했다. WP는 일본 스시의 한 종류인 '마키'와 김밥의 차이점을 설명하기도 했다. 마키와는 달리 김밥의 밥은 식초나 설탕이 아닌 소금과 참기름으로 간을 하며 속 재료들은 거의 데쳐진 후 양념된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매체는 전했다.


이런 인기에 힘입어 우리나라는 지난해 역대 두 번째로 김 수출액 1조 원을 돌파했으며 수출국도 2010년에 비해 2배 정도 많은 122개국으로 증가하는 등 세계 김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했다.




서지영 인턴기자 zo2zo2zo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