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북한이 19일 정치국 회의를 통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핵실험에 대한 '모라토리엄(유예)' 해지 검토를 시사한 것과 관련, 우리 정부는 20일 "평화의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대화와 외교만이 답"이라며 북한이 대화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취재기자들과 만나 "최근의 북한의 일련 동향을 긴장감을 갖고 예의 주시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당국자는 "추가 상황 악화 가능성에 면밀하게 대비하는 한편 한반도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관련국들과 대책을 긴밀하게 협의해 나가고자 한다"며 "한반도의 긴장이 고조되고 남북관계가 악화됐던 과거 상황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평화의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대화와 외교만이 답"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 2018년 4월 노동당 전원회의를 통해 핵시설을 폐기하고 ICBM과 핵실험 등을 중단하는 모라토리엄을 선언한 바 있다. 하지만 전날 열린 정치국 회의에서 '신뢰구축 조치의 전면 재고 및 잠정중지 활동의 재가동'을 검토하면서 모라토리엄의 해제를 시사했다.
정부는 북한이 실제로 ICBM 발사, 핵실험 등을 행동으로 옮길지 여부에 대해서는 "북한의 의도나 다음 조치를 예단해서 말씀드리지 않겠다"며 "현재의 상황을 긴장감 갖고 주시하면서 모든 가능성에 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는 올해 들어 처음 개최되는 정치국 회의로, 직전 회의였던 지난해 5차 회의 개최 이후 50일만에 열린 것이다. 정부에 따르면 보도 기준으로 김정은 총비서 집권 이후 이날까지 정치국 회의가 개최된 것은 총 38차례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