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인프라 성능개선 토론회서 주장…"학교 시설물 78% 내진성능 미달"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상호)은 국회 김현아 의원실과 함께 20일 서울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안전하고 스마트한 도시구축을 위한 노후인프라 성능개선' 토론회를 개최하고, 최근 경주 지진으로 관심이 부쩍 높아진 주요 인프라 시설 내진 설계 실태를 공개했다.
이영환 본부장은 "지하철 1∼4호선의 일일 수송인원이 730만명, 연간 15억명에 달하는데 자칫 지진이라도 나면 큰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완료 시점을 반드시 상당기간 단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존 공공시설물의 내진보강률은 지난 2015년 현재 42.4%으로 추정됐다. 고속철도, 공공건축물, 고속철도, 학교시설 등 다중이용시설물의 내진보강이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시설 총 2만131동 가운데 약 78%에 달하는 1만5653동이 법적 내진성능이 미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 시설 노후 인프라 유지관리 및 성능 개선을 위한 예산은 지난 2013년 961억원이 투입되는 데 그친 것으로 드러났다. 영국이나 일본과 같은 선진국의 경우, 국가 전략을 수립하고 민간자본을 활용함으로써 체계적 인프라 관리에 성공한 것과 대조되는 대목이다.
한편, 건산연이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2015년 4월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서울시 주요 공공시설 투자에 대해 57%가 충분하지 않다고 답변해 국민들도 공공시설 유지관리 투자가 시급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제 발표에 이은 종합토론에서는 서울대학교 이복남 교수가 좌장을 맡아 민병대 국민안전처 생활안전정책관, 박기태 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박준환 국회 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정태화 국토교통부 기술안전정책관(이상 가나다 순) 등이 참여하여 <노후 인프라시설의 실태와 안전성 제고의 필요성>에 대하여 심도 있게 논의했다.
조태진 기자 tjj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