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시장 통제…체감 기름값 별 차이 없어
이에 대해 미국 경제 일간 월스트리트저널은 아시아 주요국 정부들이 원유시장을 통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의 경우 유류 소비세를 지난달에만 두 차례 인상했다. 중국이 유류세를 올린 것은 5년만에 처음이다. 대기오염과 교통정체를 막기 위해서다.
지난 6월 이래 국제 유가는 40% 넘게 폭락했다. 이에 지난 6~11월 미국의 휘발유 가격은 26% 하락했다. 그러나 중국·인도의 휘발유 가격은 소폭 내리는 데 그쳤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경우 되레 올랐다.
미국의 지난달 소매판매 증가율은 0.7%로 8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유가와 직결되는 자동차 판매가 1.7% 늘었다. 그러나 지난달 인도와 인도네시아에서 자동차 판매는 오히려 줄었다. 중국의 자동차 판매도 2년만의 최저치로 내려갔다.
정부가 에너지 보조금 축소, 유류세 인상으로 벌어들인 돈을 경기부양에 쓸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중국 등 아시아 주요국들이 금리를 잇따라 내리는 것은 기름 값 인하로 물가 부담이 줄었기 때문이다. 투자은행 JP모건은 러시아·브라질만 제외하면 향후 6개월 사이 금리를 올릴 신흥국 중앙은행은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제 신용평가업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폴 그룬왈드 아시아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정부가 유가 하락으로 절약한 돈을 인프라 투자나 부채 상환에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저널은 아시아 각국 정부가 증가한 세수를 공공지출로 돌리지 않고 쌓아놓을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럴 경우 중국의 경기둔화 등 다른 글로벌 악재들과 맞물려 성장에 되레 해가 될 수 있다.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검찰, '검사사칭' 관련 이재명 위증교사 통화 녹음파일 확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3032210493362496_1679449773.jpg)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