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인문한국)지원사업…시간강사-교수 사이 '비정규직' 신분 하나 추가돼
HK사업은 각 대학 인문학 연구소 내에 전임교수 제도를 도입해 인문학 박사들의 고용 불안을 해소하고 연구소 중심의 인문학 연구 체제를 세우기 위해 도입됐다. 그러나 실제로는 대학들이 제도의 허점을 이용해 HK교수를 1~2년 단위로 계약하고 계약이 종료되면 타 대학 HK교수를 채용하는 등 학교 운영의 '효율성' 위주로 사업이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같이 '사업 지원'이라는 명분 아래 새로 생겨난 임용제도가 또 다른 비정규직을 양산하는 부작용은 교육부가 각 대학의 '전임교원 비율'을 파악하는 방식의 문제에서 비롯됐다는 지적도 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유은혜 민주당 의원이 지난해 '비정년트랙(계약직) 교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0년 1848명이던 계약직 교수는 2013년 3753명으로 2배 이상 늘어났다. 전체 전임교수 가운데 계약직 교수의 비율 또한 같은 기간 9.1%에서 14.7%로 눈에 띄게 높아졌다. 이처럼 비정년트랙 교원이 대학가에 확산된 이유는 교육부가 이를 전임교원으로 인정해 해당 대학의 전임교원확보율에 포함할 수 있게 했기 때문이다. 전임교원확보율은 대학평가에서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기 때문에 각 대학은 구조조정을 피하고 정부의 재정지원을 받기 위해 이비율을 높이는 데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교육당국은 제도의 허점을 파악하지 못하고, '기업화'된 대학들은 교육적 비전에 걸맞은 교원을 채용하기보다는 '효율성'만을 추구해 본래 취지와는 달리 인문학 교육이 설 자리가 점점 좁아지고 있는 실정인 셈이다.
한편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지난 7월 발표한 '국내 인문·사회계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의 고용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인 국내 신규 인문·사회계열 박사학위 취득자 924명 중 비정규직으로 취업한 비율이 57.9%로 절반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비정규직의 일자리 유형을 살펴보면 특히 인문계열의 경우 전업 시간강사 비율이 84.4%에 이르렀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