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간첩 ‘증거조작’ 수사 이후 첫 사례…국정원 윗선 보고 문건 확보했나
서울중앙지검 수사팀(팀장 윤갑근 검사장)은 19일 국정원 비밀요원인 김 과장을 구속했다. 일명 ‘김 사장’으로 불리던 그는 국정원 협력자 김모씨에게 유우성씨 변호인이 제출한 중국 싼허변방검사참(출입국관리소)의 정황설명서를 반박하는 내용의 문건 입수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김 과장에게 적용된 혐의는 형법상 위조사문서행사와 모해위조증거사용 등이다. 국정원 현직 직원이 간첩 ‘증거조작’ 수사 과정에서 구속됐다는 점은 주목할 부분이다. 검찰과 법원 모두 사안의 중대성에 공감하고 있으며 혐의에 대해 의미부여를 하고 있다는 얘기다.
김 과장은 검찰 수사의 방향을 가를 핵심 인물로 꼽힌다. 김 과장이 어떤 진술을 하느냐에 따라 국정원 윗선 개입 의혹 수사의 물줄기가 달라질 수 있다. 김 과장이 문서가 위조됐다는 것을 담은 보고서를 국정원 윗선에 보고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검찰과 국정원이 ‘증거조작’ 책임을 놓고 미묘한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검찰 수사팀은 국정원이 ‘언론플레이’를 하고 있다면서 공개적으로 경고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윤갑근 검찰 수사팀장은 “의도를 갖고 흘리거나 사실왜곡해서 방향성 갖고 끌고 가려는 거에 대처하는 방안이 있는지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한편, 검찰은 18일 노정환 서울중앙지검 외사부장, 이성규 법무부 국제형사과장 등을 중국으로 파견해 중국 공안부와 이번 ‘증거조작’ 사건에 대한 수사 공조에 나섰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