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롯데·한화·두산·CJ·신세계그룹 상장 계열사 주총 집중도 100%
[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국내 주요 대기업집단이 계열사 정기 주주총회를 하루에 몰아서 여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주식회사의 주인이 주주이고 주요 상장 대기업 지분의 상당 부분을 소액주주들이 갖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투자자들의 주총 참여를 저해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자·서면투표 도입이 의무화되지 않아 이 같은 주총 쏠림현상은 기관투자가 등의 의결권 행사에 애로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12일 사회책임투자(SRI) 컨설팅회사인 서스틴베스트에 따르면 올해 삼성그룹은 상장 계열사 14곳의 정기 주총을 모두 같은 날 개최한 것으로 조사됐다. 계열사 주총 집중도가 100%였던 것이다.
삼성그룹을 대표하는 기업인
삼성전자
삼성전자
00593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66,500
전일대비
1,400
등락률
-2.06%
거래량
13,060,740
전일가
67,900
2022.05.24 14:26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코스피·코스닥 오후 들어 1% 넘게 하락[한국판 BRT 선언]삼성·SK 등 76개사 '新 기업가정신' 선포"개인만 산다"…코스피 장중 0.8%대 하락
close
의 경우 지난해 말 기준 소액주주 지분율이 57.69%로 과반에 달한다. 주주 수로 따지면 99.96%가 소액주주다. 주총 쏠림현상은 이들의 적극적인 의결권 행사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삼성뿐 아니라 롯데·
한화
한화
00088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7,300
전일대비
550
등락률
-1.97%
거래량
171,052
전일가
27,850
2022.05.24 14:26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韓美협력 찬스잡은 중화학업계…태양광·방산·원자력 '방긋'(종합)韓美 협력에 태양광·원자력·방산 기지개…중화학업계 '방긋'한화, '태양광 벌집' 만들어 꿀벌 생태계 보호…국내 최초
close
·
두산
두산
00015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79,900
전일대비
500
등락률
-0.62%
거래량
40,569
전일가
80,400
2022.05.24 14:26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韓美협력 찬스잡은 중화학업계…태양광·방산·원자력 '방긋'(종합)韓美 협력에 태양광·원자력·방산 기지개…중화학업계 '방긋'두산, 건물용 수소연료전지·수소드론 선보인다
close
·
CJ
CJ
00104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81,800
전일대비
900
등락률
-1.09%
거래량
17,177
전일가
82,700
2022.05.24 14:26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클릭 e종목]"CJ,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수혜…실적 턴어라운드 전망"CJ, 팬덤 스타트업 '비마이프렌즈'에 224억 투자…2대 주주로김홍기 CJ 대표 “혁신성장사업 투자 지속… 배당금 상향 등 주주권 강화 노력 지속”
close
·
신세계
신세계
00417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45,500
전일대비
2,000
등락률
-0.81%
거래량
31,489
전일가
247,500
2022.05.24 14:26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클릭 e종목] "신세계, N데믹 최대 수혜…해외 소비 회복은 미지수""엔데믹 기대감에 소비심리 터졌다"…날아오른 백화점(종합)신세계, 1분기 영업이익 1636억…전년동기대비 32%↑
close
그룹 역시 올해 상장 계열사 정기 주총을 하루에 몰아서 열었다.
이 밖에도 삼성 외 4대 그룹의 주총 집중도는 현대자동차그룹 77.8%,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전일대비
0
등락률
0.00%
거래량
전일가
1970.01.01 09:00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클릭 e종목] "신세계, N데믹 최대 수혜…해외 소비 회복은 미지수""엔데믹 기대감에 소비심리 터졌다"…날아오른 백화점(종합)신세계, 1분기 영업이익 1636억…전년동기대비 32%↑
close
그룹 81.3%,
LG
LG
00355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75,300
전일대비
100
등락률
-0.13%
거래량
100,941
전일가
75,400
2022.05.24 14:26 장중(20분지연)
관련기사
[한국판 BRT 선언]삼성·SK 등 76개사 '新 기업가정신' 선포[재계 격변의 25년] 특명 '미래 먹거리' 80년대생 오너가 온다“남이 못하는 것에 집중” 구자학 아워홈 회장 별세
close
그룹 83.3% 등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우리나라와 비슷한 문제를 안고 있던 대만의 경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1년부터 하루에 개최할 수 있는 주총을 200개로 제한하고 있다. 또 지난해부터 자본금 100억대만달러(약 3700억원), 주주 1만명 이상 상장사는 전자투표를 의무적으로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상법상 전자·서면투표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강제성은 없어 실제 도입한 기업들이 많지 않은 실정이다. 서스틴베스트 조사에 따르면 시가총액 상위 505개 상장사 중 2011년 기준으로 전자투표제를 도입한 곳은 전무하다. 이 중 47개(2011년 기준)만이 서면투표제를 시행하고 있다.
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는 "영국이나 호주의 경우 정기 주총을 결산 이후 5~6개월 안에 개최하면 되지만 우리나라는 90일 내 열어야 해서 주총이 3월말에 다 몰린다"며 "이를 분산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총이 금요일에 몰린 점도 투자자들의 의결권 행사를 가로막는 요인 중 하나다. 올 들어 지난 3월말까지 정기 주총을 연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사 1655개 중 76%에 달하는 1250개사가 금요일에 주총을 열었다. 특히 지난 3월22일에는 무려 656개 기업의 정기 주총이 몰렸다.
이처럼 기업들이 금요일에 주총을 여는 이유는 언론 및 세간의 이목이 쏠리는 것을 부담스러워 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주말 직전에 주총을 여는 이른바 묻어가기 전략이다.
주총 개최 시간 역시 오전 8~10시 사이에 몰려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의결권 행사를 가로막고 있다.
서스틴베스트는 주총 쏠림현상 완화를 위해 ▲전자·서면투표 활성화 ▲상장사 주총 개최 시점 분산을 위한 법령 개정 ▲기업들의 자발적 주총 분산 노력 등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대부분 상장사들의 주총이 짜여진 각본에 따라 일사천리로 진행되는 점도 개선돼야 할 점으로 지적됐다. 실제 주총장에는 해당 기업의 직원들이 투자자인 것처럼 자리를 채워 이사회가 상정한 안건에 적극 동의하며 분위기를 몰아간다. 이에 따라 국내 상장사 정기 주총에 걸리는 시간이 평균 30분 남짓에 불과한 실정이다.
박민규 기자 yushi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