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젠슨 황 "AI, 위대한 평준화 도구…'인간'이 프로그래밍 언어"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영국 AI 산업, 골디락스 평가
황 CEO "영국 투자 확대"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AI)의 발전이 컴퓨터 사용 방식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며 AI를 "위대한 평준화 도구(equalizer)"라고 평가했다.


키어 스타머(왼쪽) 영국 총리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9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린 테크위크 행사에서 패널 토론에 참여하고 있다. / 로이터·연합뉴스

키어 스타머(왼쪽) 영국 총리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9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린 테크위크 행사에서 패널 토론에 참여하고 있다. / 로이터·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9일(현지시간) CNBC 방송에 따르면 황 CEO는 이날 영국 런던에서 열린 런던테크위크 행사에 참석해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면) 프로그램 언어를 배워야 했다"면서 "이제 별안간 '인간'이라는 새로운 프로그램 언어가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C++와 파이선 등 프로그램 언어 사용법을 아는 사람은 극소수이지만 인간에 대해서는 모두가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프로그램 작성, 이미지 생성, 시 짓기 등 컴퓨터에 뭔가를 해달라고 하려면 그냥 잘 요청하면 된다"면서 AI를 프로그램하는 방식이 사람을 훈련시키는 것과 비슷하다는 점이 놀랍다고 했다.


2022년 말 오픈AI가 선보인 챗GPT는 전 세계에 대화형 AI 시대를 열었고, 구글의 제미나이, 마이크로소프트(MS)의 코파일럿 등 빅테크 기업들도 경쟁적으로 관련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챗GPT의 주간활성이용자(WAU)는 올해 2월 기준 약 4억 명에 달한다.

이날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 무대에 오른 황 CEO는 "영국은 '골디락스 환경(Goldilocks zone)'에 있다"며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AI 커뮤니티 중 하나를 갖추고 있으며, 세계가 부러워할 만하다"고 극찬했다. 또 "영국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각국이 자국 내 데이터 인프라를 기반으로 독립적인 AI 시스템을 구축하는 소버린 AI 측면에서는 영국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영국 정부는 이날 AI 컴퓨팅 파워를 위해 10억 파운드(약 1조8000억원)를 추가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엔비디아가 영국의 소버린 AI 구축 사업에 자사 반도체를 공급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황 CEO는 런던 일정을 마친 뒤 프랑스를 방문하고 독일, 벨기에의 지도자들과도 만날 예정이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