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정부 출신 이낙연, 전격 김문수 지지 선언
"민주당 괴물 독재 막으려 불가피하게 결정"
"계엄은 견제 장치 작동…독재는 미래 공포"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힌 이낙연 전 국무총리를 향해 더불어민주당에서 강한 비판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이 전 총리가 "민주당은 그렇게 말할 자격이 없다"고 했다. 이 전 총리는 28일 YTN 라디오 '신율의 뉴스정면승부' 인터뷰에서 "(김 후보를 지지한 이유는) 민주당에 의한 괴물 독재 국가가 탄생할지 모른다, 그것을 막기 위해 불가피하게 김 후보에게 한 표를 줘야겠다는 것"이라며 "(민주당은) 괴물 독재 국가의 우려가 왜 나왔는지 먼저 성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전 총리는 "민주당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이후 그 짧은 기간 동안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했다. 계엄을 2시간 33분 만에 해제 결의를 하도록 주도했다든가, 윤 전 대통령을 넉 달 만에 파면되도록 주도했다든가 이런 건 참 중요한 역할"이라면서도 "그 분위기를 끌고 가지 못하고 오히려 민주당이 국민들에게 걱정을 드리는 존재가 된 이유는, 범죄 혐의 12개를 하나도 해결하지 못한 후보를 내놨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민주당이 그런 범죄 혐의가 없는 후보를 내놨더라면 사법부를 장악할 필요도 없었을 것이고, 독재의 우려는 안 생겼다"며 "그러면 지금 선거는 훨씬 더 아름답고 유쾌한 선거가 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 이 선거가 자기들이 원하는 대로 '내란 종식' 일변도로 가지 못하고 독재의 우려가 거의 비슷비슷한 쟁점으로 떠오르는 것은 민주당이 자처한 것"이라며 "거기에 대한 반성이나 국민들을 안심시키는 노력이 전혀 없다. 그냥 그런 말 하는 사람을 마구 적으로 돌리는 이거 외에는 없다. 민주당 정치가 그것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 발전을 정치가 발목 잡는 현상이 된다는 점에서 굉장히 안타까운 일"이라며 "제가 걱정하는 불행이 결코 쉽게 끝나지 않을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른바 '내란 프레임'과 '독재 프레임'에 대한 의견도 밝혔다. 이 전 총리는 "내란 프레임은 이미 정치적 법적으로 정리 단계에 들어갔다. 대통령이 파면됐고, 그 부하들이 전부 자리에서 쫓겨났고, 모두 재판받고 있다"며 "그런데 독재의 공포는 일주일 뒤면 현실이 될지도 모르는 현재 진행형이자 미래형의 숙제다. 그 점에서 당연히 후자의 우려가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비상계엄은 견제 장치가 작동을 했다. 국회에서 2시간 33분 만에 해제를 결의했고 대통령 파면이 결정되고 이렇게 견제 장치가 있었다. 그래서 내란이 쉽게 정리가 됐는데, 독재의 우려는 견제 장치가 마비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포함된다"며 "한 사람이 입법, 행정, 사법 국가 권력 전체를 장악한다고 그러면 견제 장치가 마비된다"고 밝혔다.
이날 이 전 총리의 김 후보 지지 선언 이후 문재인 정부 당시 인사들이 모인 '포럼 사의재'는 이 전 총리는 고문에서 제명하기로 결정했다. 사의재는 이날 "반헌법적 12·3 비상계엄에 책임이 있고 이를 옹호하는 세력을 지지하며, 이들과 공동정부를 구성한다는 입장은 포럼 사의재의 목적을 심각하게 위반하는 것"이라며 "정관에서 규정하고 있는 제명 사유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인터뷰 말미에 진행자가 '문재인 전 대통령과는 가끔 연락하냐'고 묻자, 이 전 총리는 "요즘은 거의 못 했다. 연락드리면 오히려 불편하실 수도 있어서"라며 "(선거 끝나면) 시기 봐서"라고 답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