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 피폭에 DNA 영향 안 받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 사고가 벌어진 지 38년이 지난 가운데, 해당 지역에서 방사성 물질 오염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새 벌레가 발견됐다는 주장이 나와 관심이 쏠린다.
영국 인디펜던트지는 지난 9일(현지시간) 미 뉴욕대 연구팀의 연구 결과를 인용, "체르노빌 출입금지구역 주위에 사는 벌레를 분석한 결과 방사능 물질에 면역력을 가진 선충이 발견됐다"고 전했다. 해당 연구 내용은 국제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발표됐다.
체르노빌 원전 사고는 1986년 4월 26일 구 소비에트 연방의 체르노빌 북서 지역 원전 4호기가 폭발한 사고다. 이로 인해 방사성 물질이 주변으로 퍼져 생태계가 심각하게 훼손됐으며, 방사능 피폭으로 인한 수십만명의 사상자를 낳았다.
사고 이후 체르노빌 주변 지역 30㎞는 출입금지구역(CEZ)으로 지정됐다. 그러나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게 되자 해당 지역에선 다양한 동식물이 번성하고 있다. 뉴욕대 연구팀은 CEZ에 서식하는 일부 동물의 샘플을 분석했다.
특히 연구팀은 상대적으로 유전체가 단순하고 번식이 빠른 벌레인 선충에 주목했다. 그만큼 새 돌연변이로 인한 세대교체가 더 수월하기 때문이다. CEZ에서 수집한 선충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특정 선충의 유전자는 방사선으로부터 전혀 손상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의 주요 저자인 매튜록맨 생물학 교수는 선충류가 보인 방사성 저항력에 대해 "이 벌레는 어디에나 살며, 수명이 짧아 일반적인 척추동물이 성숙하기 전에 이미 수십 세대의 진화를 거쳤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런 결과가 체르노빌 지역이 방사선에 안전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건 아니"라며 "일부 선충류의 경우 강한 회복력이 있고, 극한의 조건도 견딜 수 있다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