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자는 3.2%만 동거…취업·결혼 여부가 독립에 영향
"최근 만혼·비혼 확산이 주거 독립 시기 늦춰"
[아시아경제 박현주 기자]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3명은 독립하지 않고 부모와 함께 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보건복지포럼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만 19∼49세 성인 남녀 중 29.9%는 부모와 동거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9999가구, 1만4538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가족과 출산 조사'를 바탕으로 부모와의 동거, 경제적 자립 등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다.
결혼 및 취업 여부로 구분해보면 비혼 성인의 64.1%, 비취업자의 43.6%가 부모와 동거하고 있었다. 반대로 기혼자가 부모와 함께 사는 경우는 3.2%에 불과했고, 취업한 뒤에도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는 23.5%로 낮았다.
통계에 따르면 독립의 가장 큰 유인은 결혼이었다. 응답자들은 부모로부터 독립한 주된 이유로 '결혼을 해서'(36.4%)를 꼽았다. 이외에는 '학교와의 거리가 멀어서'(28.0%), '직장과의 거리가 멀어서'(20.9%), '독립하고 싶어서'(7.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독립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19~24세가 66.8%로 가장 많았다. 이어 25~29세(33.6%), 30~34세(15.3%), 35~39세(5.9%), 40~44세(4.2%), 45~49세(4.0%) 순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부모의 집을 떠나 주거 독립을 하기 위해서는 사회문화적 승인과 경제적 자원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해석했다.
연구팀은 또 "최근의 만혼과 비혼 확산이 주거 독립 시기를 늦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주거 독립 연령이 10대 후반에서 30대 후반까지 넓게 퍼져 있어 성인 자녀가 부모의 집을 떠나는 것이 특정 연령대에 정해져 있다기보다는 취업이나 결혼 등의 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