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는 이달 초 지역 내 9개 서점이 참여하는 서점 소상공인협동조합을 구성했다. 조합은 파주지역 공공도서관 13곳, 공ㆍ사립 작은도서관 23곳 등 관내 95개 도서관에 책을 우선 공급하게 된다.
파주시 관계자는 "지난해 4월부터 지역 서점, 도서관, 학교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왔다"며 "일종의 독서문화운동으로 정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성남시는 올 초 대형 서점과 온라인 서점 등에 밀려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20여개 안팎의 동네서점 살리기에 나섰다.
공공도서관의 지역서점 도서 구매는 이달 말부터 시작돼 정기적으로 도서 목록을 주문하게 된다. 성남시 공공도서관의 올해 도서구매 총 예산이 10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이번 조치가 지역서점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게 성남시의 설명이다.
성남지역 서점은 2010년 40여곳에 이르렀으나 최근 대형 및 온라인 서점에 밀려 27곳으로 줄었다. 비교적 큰 규모인 분당 서현동 교보문고, 구미동 영풍문고 등을 제외하면 개인이 운영하는 중소 지역서점은 경영난이 심각한 상태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