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농은 20일 경기도 의왕시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열린 '세계무역기구(WTO) 쌀 관세화 유예종료 관련 공청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날 공청회 토론에 참석한 박형대 전농 정책위의장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1년 전과 똑같은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면서 "사실을 왜곡하거나 숨기고 있는 것이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송 연구위원의 발표에는 정부가 앞으로 협상을 어떻게 할지에 대한 언급은 없고, WTO 쌀 협상에 대해서는 필리핀 사례만 보고 있고, TPP 관련해서는 일본만 보고 있다"면서 "이것은 농민에 대한 목독"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박 정책위의장은 쌀 관세화와 관련한 WTO 회원국과 협상을 할때 전략을 다시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WTO나 도하개발아젠다(DDA)를 두려워 할 필요가 없다"면서 "WTO 회원국으로서 권리를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가 WTO 회원국과 협상을 하면서 강한 목소리로 우리의 이익을 주장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박 정책위의장은 관심 상대국의 요구를 충분히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쌀 관세화는 미국에게는 상당한 손해를 가져올 것이고, 중국은 상대적 유리한 국면에 놓이게 된다"면서 "미국은 협정을 위반하고 나올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박 정책위의장은 "6월말 정부 입장 결정은 매우 성급한 것으로 최소한의 국회 협의, 농민과 협의, 관심국들과의 사전 협의 등을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또 "관세화 아니면 길이 없다고 말하는 통상관료는 모두 교체하고, 범국민 협상단을 꾸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쌀 대책은 WTO 쌀 협상과 무관하게 세워져야 하고, 지금은 외교적 협상에 집중적으로 힘을 쏟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