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주택거래 '주춤'…은행 가계대출, 2개월 연속 줄었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1월 성과·상여금, 이른 설 효과…기타대출 급감
은행 주담대 1.7조 늘었으나 '낮은 증가세 지속' 전망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이 2개월째 줄었다. 주택 거래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완만한 증가세를 이어간 가운데 연초 성과·상여금에 명절 효과가 겹치면서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크게 줄어든 영향이다. 주택매매거래가 주춤한 상황에서 이를 2~3개월 후행하는 주담대는 당분간 낮은 증가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주택거래 '주춤'…은행 가계대출, 2개월 연속 줄었다
AD
원본보기 아이콘

1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1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140조5000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5000억원 감소했다. 지난해 12월 4000억원 줄면서 9개월 만에 감소 전환한 후 2개월째 이어진 감소세다.

은행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은 1조7000억원 늘어난 904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연초 은행들의 가계대출 취급이 재개됐음에도 주택 거래가 둔화하면서 비교적 낮은 증가세를 지속했다는 설명이다. 박민철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비은행권을 포함한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흐름을 잘 살펴야 하는데, 전체로 봐도 지난달 주담대 대출은 늘었으나 지난해 12월까지 이어지던 비은행으로의 이동 '풍선효과'는 감소했다"며 "지난해 비은행권 포함 연간 금융권 주담대 대출이 57조원대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지난달 3조원대 증가는 낮은 증가세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지난해 12월 2만7000가구에 그치며 2개월 연속 감소했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는 전달에 이어 3000가구 수준이었다. 전세자금대출은 4000억원 늘었다.


기타대출은 2조1000억원 줄었다. 연초 성과·상여금 유입, 이른 설 명절 효과 등으로 크게 감소했다는 분석이다. 기타대출은 일반신용대출, 신용한도대출(마이너스통장대출), 상업용부동산 담보대출, 예적금담보대출, 주식담보대출 등을 포함한다.


2월 가계대출은 재차 증가 전환할 가능성이 있으나, 그 폭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박 차장은 "2월에는 설 명절 상여금이 지난달 이미 들어와 기타대출 감소폭이 줄면서 전체 증가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주택매매거래 움직임 등을 고려할 때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 추세는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지난달 은행 기업대출은 7조8000억원 늘었다. 연초 계절적 요인으로 증가 전환했다는 설명이다. 대기업대출은 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일시 상환했던 한도대출 재취급, 설 명절 자금 수요 등 단기 요인으로 6조1000억원 증가했다. 중소기업대출도 1조8000억원 늘었다. 역시 부가가치세 납부와 명절 상여금 지급을 위한 자금수요 등 단기 요인으로 증가 전환했다.


직접 금융을 통한 자금조달을 보면, 회사채는 연초 기관 자금운용 재개 등의 영향을 받아 지난해 12월 3000억원에서 지난달 1조8000억원으로 순발행 규모가 커졌다. 기업어음(CP)·단기사채가 9조1000억원 증가했다. 연말 일시 상환분 재발행, 일부 대기업의 운전자금 수요 확대 등으로 큰 폭 순발행됐다는 설명이다. 박 차장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투자가 위축돼 장기적인 자금 조달이 줄었는데 이같은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1월 은행 수신은 지난해 12월 16조5000억원 증가했으나 지난달 33조3000억원 줄었다. 수시입출식예금을 중심으로 큰 폭 감소했다. 수시입출식예금은 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일시 유입된 자금 유출, 부가세 납부 수요 등으로 법인자금(32조3000억원 감소)을 중심으로 크게 줄었다.


정기예금은 대출 증가세 둔화 등으로 은행 자금조달 유인이 낮아지면서 소폭(2조4000억원) 감소했다. 자산운용사 수신은 머니마켓펀드(MMF), 채권형펀드를 중심으로 38조1000억원 증가 전환했다. MMF는 연말 자본비율 관리 등을 위해 인출됐던 자금이 유입되면서 19조9000억원 증가했다. 채권형펀드도 8조6000억원 큰 폭 유입 전환됐다. 주식형펀드와 기타펀드도 각각 5조4000억원 3조4000억원 늘며 증가세를 지속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