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측의 '경종 울리기 위한 계엄' 주장엔 "충분히 그럴 가능성"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이 지난해 서울 '삼청동 안가 모임'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조치' 언급과 비상계엄 선포 당일에 모두 "적절치 않다", "절대 안 된다"며 강하게 만류했다고 밝혔다.
11일 오후 윤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에 증인으로 참석한 신 실장은 지난해 총선을 앞둔 3월 말~4월 초 삼청동 만찬 자리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정상적 정치 상황으로 가기 어려워졌다. 비상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발언했다고 말했다. 비상계엄을 윤 대통령이 사전에 모의했다는 의혹을 수긍한 것이다.
신 실장은 "비상한 조치가 계엄이라고까지는 생각 못 했고, 여러 말씀 중 지나가는 말로 해서 그냥 말씀하신 취지 그대로 이해했다"면서도 "적절하지 않고 어려움 해결에 좋은 솔루션은 아니라고 했다"고 전했다. 신 실장에 따르면 윤 대통령이 마련한 삼청동 안가 모임에는 신 실장과 함께 김용현 당시 대통령 경호처장(전 국방부 장관),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참석했다.
또 신 실장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직전에도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과 함께 윤 대통령을 말렸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윤 대통령을 만나 무슨 비상계엄이냐는 취지로 말했다"며 "계엄을 1~2분 전에 들었기 때문에 선포가 적절한 선택이 아니라고 본능적으로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신 실장은 '제2 계엄'과 '계엄 해제 거부'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전혀 우려하지 않았다"고 즉답했다. 그는 "'해제하자' 말하니 대통령이 바로 승인했다"며 "대통령이 제2 계엄을 생각한 게 아니라고 제 나름대로 확신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회 측이 '윤 대통령이 계엄을 거대 야당의 폭주에 대한 경종을 울리기 위한 것이라고 변론했는데, 증인은 이게 가능하다고 보냐'고 묻자 신 실장은 "당시에는 판단하지 못했는데, 계엄이 극히 짧은 것이나 대통령의 여러 말씀을 볼 때 충분히 그럴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고 답했다. 다만 '윤 대통령이 국정 해법으로 계엄과 군 투입한 것에 동의하냐'는 질문엔 "제 주관적인 판단이기에 얘기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
염다연 기자 allsalt@asiae.co.kr
곽민재 기자 mjkwak@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