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상품권 투자해서 월 3300만원"…금감원, 작년 불법 유사수신 35곳 수사의뢰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작년 신고·제보 410건…전년比 25%↑
"'원금보장·고수익' 속지 말아야"

#A씨는 지난해 12월께 유튜브에서 상품권 투자로 월 500만원을 번다는 영상을 봤다. 블로그 투자후기, 업체 관련 기사를 살펴본 뒤 홈페이지에서 사업구조와 원금보장 약정 안내를 확인했다. 업체가 안내한 계좌로 1000만원을 입금했고 초기 수익금을 제외한 전액을 날렸다. 업체 연락은 끊겼다.


#B씨는 1000만원을 맡기면 1500만원을 365일 분할 지급하는 업체가 있다는 지인 말을 듣고 투자했다. 투자액 150%를 자사 개설 전자지급결제플랫폼 포인트로 주고, 매달 일정 금액을 현금화할 수 있다고 했다. 지인 비롯 수많은 이들의 출금 사실을 확인하고 투자한 뒤 3개월간 일정액을 돌려받았지만, 이후 업체가 잠적했다.

유튜브에 게재된 불법 유사수신·사기 홍보영상. 금융감독원 제공

유튜브에 게재된 불법 유사수신·사기 홍보영상. 금융감독원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유사수신 관련 신고 410건이 들어왔다고 11일 밝혔다. 전년(328건) 대비 25%(82건) 증가했다. 이 중 35개 업체를 적발해 경찰에 넘겼다. 업체 수는 전년(47개) 대비 12개(26%) 줄었지만 적발 인원은 90명으로 3명(3%) 늘었다. 유사수신 행위는 인·허가, 등록 없이 원금 이상 지급을 약정한 뒤 불특정 다수의 출자금, 예·적금 등을 조달하는 행위다.


금감원에 따르면 경찰에 수사를 의뢰한 유사수신 유형은 신기술·신사업 투자(17건, 48.6%), 가상자산 및 주식·채권 등 금융상품 투자(12건, 34.3%), 부동산 투자(6건, 17.1%) 순이었다. 최근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고수익 보장을 내건 온라인 전용 불법 사기가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온라인 사기를 당하면 사실상 회복 불가능"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대표 유사수신 사기 4건을 공개했다. 불법 업자들은 ▲온라인에서 유망 사업체로 가장 ▲경매학원 수강생 대상 부동산 실전 투자 빙자 ▲어르신 대상 다단계 모집 ▲금융업계 종사자를 이용하여 재테크를 가장해 서민 자금을 쓸어 담았다.

"상품권 투자해서 월 3300만원"…금감원, 작년 불법 유사수신 35곳 수사의뢰 원본보기 아이콘

소비자를 유인하는 주요 키워드로는 '원금보장' '부동산경매' '평생 연금' '가상자산 상장' '목돈 관리' 등을 꼽았다. 특히 가짜 투자성공 후기를 올린 뒤 투자금을 모으고 잠적하는 온라인 '유령' 유사수신, 어르신에게 가상자산사업자, 코인 발행 재단 임직원 등을 사칭하며 접근하는 사기 행위 등에 주의하라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소비자 유의사항 및 대응 요령 6가지를 제시했다. 이는 ▲'고수익·원금보장 투자'는 없다는 진리 기억 ▲온라인 투자 성공 후기는 불법 업체의 유혹일 가능성 유념 ▲가치평가가 어려운 투자 대상은 더 꼼꼼히 사실 확인 ▲지인 고수익 보장 권유도 의심 ▲보험설계사 등 금융 종사자 맹신 주의 ▲불법 행위 의심 시 신속 제보 등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수사 기관과의 공조를 강화하고 소비자 경보를 적극 발령해 금융범죄 척결에 앞장설 계획"이라며 "유사수신업체로부터 피해를 보거나 사기 행위로 의심되면 지체 없이 신고, 제보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