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행정과, 복지정책과, 21개 동 주민센터 협력해 위기가정 발굴 추진 박차...복지사각계층 발굴 위해 전입신고서, 사망신고서에 ‘복지상담 수락여부’ 문구 삽입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 '관악구에서는 복지종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상담에 동의하십니까?'
1년여 투병 후 사망한 시부의 사망신고를 위해 동 주민센터를 찾은 김 모 씨. 장례비와 미납된 입원비를 모두 납부하고 나니 당장의 생계가 막막했지만 도움을 요청한다는 것이 어렵게만 느껴졌던 김 모 씨는 사망신고서를 작성하다 위와 같은 복지상담 안내 문구를 보게 된다.
‘동의’에 체크한 김 모 씨는 동 주민센터 행정 팀 직원 안내를 받아 곧바로 복지 팀 직원에게 연계돼 상담 및 복지서비스 제공을 받게 된다.
관악구(구청장 박준희)가 전입신고서 및 사망신고서에 복지상담 의향을 묻는 짧은 문구를 넣어 복지사각계층 제로(zero)화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
구는 “전입신고·사망신고와 같이 행정민원 업무로 동 주민센터를 방문한 주민 중 복지상담 욕구가 있는 주민이 자연스럽게 복지 팀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효과적인 발굴체계를 구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는 이번 신규 사업을 통해 다른 지역에서 관악구로 전입한 주민이 전입신고를 한 순간부터 공백 없이 복지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촘촘하게 관리할 방침이다.
이사와 전입신고가 잦은 특성이 있는 주거 빈곤층 발굴에 큰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대면상담, 개인정보 노출을 꺼리는 복지사각 위기가정의 복지접근성 제고효과도 기대된다.
구는 전입신고서 뿐 아니라, 사망신고서에도 복지상담 안내 문구를 삽입했다.
가족 구성원 사망은 유가족에게 심리적 불안과 경제적 부담 요인이 된다.
특히 주 소득자의 사망은 긴급복지지원법 상 위기상황에 해당하기 때문에 경제·사회·심리 복합적 복지욕구가 있는 주민의 복지제도 접근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관악구는 주민등록 재등록자 전수조사, 베이비부머 1인가구 전수조사 등 구만의 특화된 자체사업을 추진해 다양한 위기가정 발굴채널을 운영해오고 있다.
특히, 지난해 추진한 지하방·옥탑방 거주자 등 주거취약계층 전수조사, 주민등록 재등록자 전수조사 등 다각적인 복지사각지대 발굴 사업은 대내외적으로 큰 호평을 받은 바 있다.
박준희 구청장은 “앞으로도 복지상담 문턱을 낮춘 주민 중심의 행정으로 복지제도에서 소외되는 주민이 없는 ‘더불어 행복한 관악’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