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간질환, 걱정말고 병원으로 오세요"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아시아경제 강경훈 기자]"간암, 간염 등 간질환은 예전에는 나을 수 없는 병으로 생각했죠. 하지만 최근 10년 간 치료법이 가장 많이 발전한 분야입니다. 걱정 말고 조기 치료 하십시요."

간은 자신의 상태를 주인에게 잘 알리지 않는다. 견딜 때까지 견뎌보려는 특성 때문이다. 이런 저런 이유로 간이 혹사당하면 간염에 걸리기 쉽고 간염은 간경화, 간암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진다. 특히 늦게 시작한 치료는 되돌릴 수 없는 치명적 결과로 이어진다.
간에 대해 보다 관심을 갖자는 취지의 국민홍보사업이 대한간학회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대한간학회 유병철 이사장(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사진)을 만나 사태의 심각성, 그리고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 들어봤다.

◆"청년 A형, 중년 B형 간염 주의해야"

우리나라 간 전문가들의 모임인 '대한간학회' 수장이 말하는 '간 건강 지키는 비법'은 뭘까. "술 적게 마시고 스트레스 안 받으면 됩니다"라는 교과서적 대답이 돌아올 줄 알았지만, 유 이사장은 의외로 '공격적'인 답을 내놨다.
"비과학적 치료에 현혹돼 더 큰 피해를 입지 마시고, 얼른 병원으로 가세요. 간염보균자라 해도 치료가 빠르면 빠를수록 건강을 더 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비과학적 치료란 무엇일까. 본론이 궁금했지만 유 이사장은 간질환의 기본부터 알아야 한다고 기자를 다독였다.

간염은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A, B, C형이 있다. B형 간염은 전체 간 질환의 약 70%를 차지한다. 잦은 음주, 운동부족, 스트레스, 육식 등 나쁜 생활 습관으로 간이 혹사당하면 바이러스가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문제는 중년 이상 어른들은 대부분 B형 간염 예방접종을 거의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유 이사장은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하면서 주기적으로 검사를 하면 B형 간염에 걸릴 염려가 없고, 만약 걸렸다고 해도 진행을 늦추는 약이 개발돼 있으니 관심의 끈을 놓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반면 20, 30대 젊은이를 위협하는 건 A형 간염이다. 어린 시절 비교적 청결한 환경에서 자란 젊은이들은 A형 간염 항체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간 질환은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간경화, 간암으로 악화되기 때문에 빨리 발견하느냐가 치료의 열쇠를 쥐고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간 질환 검사를 받는 것이 나중에 더 큰 병으로 발견되는 것 보다 비용적인 측면이나 치료성적에서 더 효과적 입니다."

◆"무분별한 건식 복용이 간건강 해쳐"

대한간학회는 간 건강의 중요성을 일깨우기 위해 지난 2000년부터 10월 20일을 '간의 날'로 정해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는 10월 4일 안동성소병원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43곳에서 강연 및 무료검진이 진행될 예정이다.

학회가 올해 '간의 날' 주제로 잡은 것은 'A형 간염과 독성 간염의 위험'이다. 유 이사장은 "특히 건강을 챙기기 위해 먹는 각종 건강보조식품으로 인한 독성 문제가 심각하다"며 "식물로 만든 건강보조식품들이 마치 질병 예방에 큰 효과가 있는 것처럼 과대광고 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전통적인 한약재는 제대로 관리되기 때문에 안전하지만, 보조식품은 효능이 제대로 검증되지 않은 '식품'일 뿐, '약'이 아니다"라며 "화학혼합물인 약보다 풀뿌리, 나무열매가 건강에 좋다는 것은 순진한 착각"이라고 덧붙였다.

◆"간 질환자도 보험 혜택 받아야"

유 이사장은 국민의 간 건강 향상을 위해 정부에도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았다. 우리나라 건강보험이 외국에 비해 잘 갖춰져 있다고 해도 간 질환에 대한 보험 혜택은 아직 미비하다는 지적이다.

B형 간염 치료제는 보험이 적용되긴 하지만 보험 혜택을 받기 위해선 발병한지 3년 이상이거나 내성으로 인한 복합치료도 1가지로 제한된다.

간암은 더욱 심각하다. 간암치료제로 개발된 약이 정작 환자 수가 많다는 이유로 간암환자에게는 보험혜택이 없고 신장암환자는 보험혜택을 받고 있다.

"보건복지부,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서도 이 약이 효과가 있다는 것은 알고 있죠. 약 값도 비싸고 오랜 기간 먹어야 하기 때문에 보험재정에 부담이 되는 것이 현실이지만 건강보험이 국민을 위해 존재하는 만큼 빨리 해결책을 제시해야 합니다."



강경훈 기자 kwkang@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이종섭 호주대사, 임명 25일만에 사의…윤 대통령 재가할 듯 [포토] 12년만에 서울 버스파업 "웰컴 백 준호!"…손흥민, 태국전서 외친 말…역시 인성갑

    #국내이슈

  • "애플, 5월초 아이패드 신제품 선보인다…18개월 만" 디즈니-플로리다 ‘게이언급금지법’ 소송 일단락 '아일 비 미싱 유' 부른 미국 래퍼, 초대형 성범죄 스캔들 '발칵'

    #해외이슈

  • 올봄 최악 황사 덮쳤다…주말까지 마스크 필수 [이미지 다이어리] 누구나 길을 잃을 때가 있다 푸바오, 일주일 후 中 간다…에버랜드, 배웅시간 만들어

    #포토PICK

  • 첨단사양 빼곡…벤츠 SUV 눈길 끄는 이유 기아, 생성형AI 탑재 준중형 세단 K4 세계 첫 공개 벤츠 G바겐 전기차 올해 나온다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국가 신뢰도 높이는 선진국채클럽 ‘WGBI’ [뉴스속 용어]코코아 t당 1만 달러 넘자 '초코플레이션' 비상 [뉴스속 기업]트럼프가 만든 SNS ‘트루스 소셜’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