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서울 한복판, 조금만 고개 돌리면…빈집 가득한 마을이

서울 충신1구역에 위치한 빈집. 발코니에 설치한 철대가 방치돼있다. 이지은 기자
서울 충신1구역에 위치한 빈집. 발코니에 설치한 철대가 방치돼있다. 이지은 기자

지난 8일 찾은 서울 종로구 충신동 충신 1구역. 마을 초입에 들어서자 담벼락이 갈라진 단독 주택이 눈에 들어왔다. 출입문 틈새에는 빛바랜 공과금 고지서들이 꽂혀 있었다.
지난 8일 찾은 서울 종로구 충신동 충신 1구역. 마을 초입에 들어서자 담벼락이 갈라진 단독 주택이 눈에 들어왔다. 출입문 틈새에는 빛바랜 공과금 고지서들이 꽂혀 있었다.
깨진 출입문 안쪽에는 비바람에 녹고 빛을 잃은 쓰레기들이 널브러져 있었다. 시간의 흔적 속에 사람의 자취는 사라졌다. 마을 안쪽으로 접어들자 이런 집들이 무더기로 모습을 드러냈다.

이곳은 한양도성 낙산 성곽길 아래에 자리 잡은

서울의 대표적 달동네다.


빈집들이 생기더니 이내 빈 마을이 됐다.

반경 500m 거리에 위치한 동대문역이

인파로 북적거리는 것과 대조적이다.


마을 중턱에서 만난 박수철씨(84·가명)는

"한때 동네에 아이들 웃음소리가 가득했었다"며

"골목마다 아이들이 고무줄놀이하며 뛰놀았다"고 회상했다.


박씨는 50년 전에 이곳에 정착한 터줏대감이다.

그는 "충신1구역이 봉제공장이 밀집했던 지역"이었다며

"가가호호 가족 단위로 정착한 노동자들이 살았다"고 설명했다.


서울 종로구 충신1구역에 위치한 낡은 2층 주택 사이로 고층 빌딩이 보인다. 이지은 기자

서울 종로구 충신1구역에 위치한 낡은 2층 주택 사이로 고층 빌딩이 보인다. 이지은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그랬던 마을은 급속히 쇠락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 불어닥친 개발 열풍이 화근이었다.


서울시는 2005년 충신동 일대 약 2만9601㎡에

545가구를 짓겠다는 정비계획을 수립했다.

마을에 재개발 열풍이 불자

공인중개사와 투기 세력이 골목길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후 집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박씨는 "1990년대 중후반만 해도 이 동네 단독주택 평당가(3.3㎡)가

300만원에서 500만원에 불과했다"며

"2000년대 초반부터 재개발을 할 수 있다는 소식이 차차 들려오면서

평당가가 800만원 가까이 뛰었다"고 말했다.


결국 마을은 떠나는 사람과 남는 사람으로 양분됐다.

원주민이 팔고 떠난 집에는 낯선 얼굴의 임차인들이 들어왔다


원본보기 아이콘

금방이라도 아파트가 들어설 것 같았는데,

그 꿈은 단숨에 깨졌다.


시가 역사 문화 가치 보존을 이유로

2017년 충신1구역을 정비구역에서 직권 해제한 것이다.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도 같이 무너지면서 거래는 끊겼다.

웃돈을 주고 집을 사들였던 외지인들은

제값에 집을 팔지 못하는 상황이 됐다.


10년 넘게 재개발이 지연된 노후주택에 살 세입자도 찾지 못했다.

이런 이유로 생겨난 빈집은 하나둘씩 늘어나게 됐다.


재개발 열풍이 훑고 지나간 자리에 빈집이 속출한 것은

충신 1구역만의 일이 아니다.

같은 구 옥인 1구역· 사직 2구역이나 성북구 성북4구역 등도

정비구역 직권 해제에 따른 후폭풍이 닥친 곳이다.

서울연구원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9년 기준 해당 4개 구역에는

총 빈집 125가구가 분포한 것으로 집계됐다.


원본보기 아이콘

빈집은 이웃의 안전을 위협하는 시한폭탄이 됐다.


허리가 굽어 보행 속도가 느린 김순례씨(76·가명)는

안전을 이유로 집 앞 반경 열 발자국 내에서만 산책을 한다.

좁은 골목길을 오가다 적치물이 떨어지면 피할 수 없고,

소리를 쳐 사람을 부른다 해도 올 사람이 없다.


박수철씨도 바람이 부는 날에는 외출을 삼간다.

맞은편 빈집 옥상에 쌓여 있는 나무패널이

강풍이 불 때마다 심하게 흔들려서다.

박씨는 "태풍이 오면 패널이 튀어

사람을 가격할까 봐 걱정된다"고 말했다.


마을 주민들은 빈집이 우범지대로 전락할까 두렵다고 했다.

충신1구역에서 60년째 사는 강미자씨(76·가명)는

3년 전 출입문에 이중 잠금장치를 설치했다.

이웃집이 빈집이 된 후 아무도 관리하지 않고

방치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이같이 조치했다.

강씨는 "해가 지면 빈집에 누군가 숨어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가슴을 졸인다"고 호소했다.


낙산공원 성곽길이 관광지로 유명세를 타자

충신1구역까지 외지인 방문이 늘면서

강씨의 불안감은 더욱 심해졌다.

이곳을 찾은 관광객들이 빈집에

담배꽁초를 버리거나 집 근처를 기웃대기 시작한 것이다.


실제 이곳 빈집들은 철근과 콘크리트가 노출된 상태로 방치돼 있었다.
마을 중턱에 위치한 2층짜리 연립주택의 경우 손으로 벽을 스치기만 해도 시멘트 가루가 부서져 내렸다.
실제 이곳 빈집들은 철근과 콘크리트가 노출된 상태로 방치돼 있었다.
마을 중턱에 위치한 2층짜리 연립주택의 경우 손으로 벽을 스치기만 해도 시멘트 가루가 부서져 내렸다.

빈집은 마을의 외형뿐 아니라 공동체마저 무너뜨렸다.


충신1구역도 예외는 아니다.

빈집이 방치되며 주거환경이 악화하자

하나둘 마을을 빠져나가는 주민이 더 늘었다.

주민들 말에 따르면 최근에는 외국인 노동자를 제외하고

셋방살이를 하려 마을로 찾아오는 이들도

좀처럼 보기 힘든 실정이다.

기존 월셋집들은 계약이 만료된 뒤

새로운 임차인을 찾지 못해 빈집으로 남아있다.


주민들이 뿔뿔이 흩어지며 이웃 간의 교류는 사라졌다.

박씨는 "옛날엔 여름마다 이웃들과 평상에 모여

수박을 나누어 먹고 장기자랑도 했다"며

"이제 마을에 누가 사는지 알지 못한다.

내가 아는 유일한 이웃은 김씨뿐"이라고 말했다.

박씨뿐만 아니라 이날 마을에서 만난 주민 3명 모두

이웃집을 제외하고는 마을의 다른 이웃을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일본에서 0엔에 내놓은 부동산 매물들.

일본에서 0엔에 내놓은 부동산 매물들.

원본보기 아이콘

한국보다 빈집 연구를 선제적으로 진행한 일본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토나리(隣り)' 개념으로 설명한다.


토나리는 이웃을 뜻하는 단어로,

두 가구 중 한 가구가 빈집이 되는 시점부터

마을이 공동체 기능을 잃고 서서히 무너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곧 아흔의 나이를 바라보는 박씨의 유일한 바람은

더는 이웃에 빈집이 생겨나지 않는 것이다.


박씨는 "하루의 시작과 끝을

이웃과 인사를 주고받으며 살던 때가 그립다"며

눈물을 글썽였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