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내 집을 시니어하우스로

'폐교'를 요양원으로… 어르신을 위한 학교는 왜 없을까

[내집을 시니어하우스로] 16. 도심 폐교를 어르신 보금자리로
24시간 기저귀 신세되면 어쩔 수 없이 시설로
가족과 단절, 노인들은 고립돼

서울시 폐교 대상 학교 1317개

서울시의회, 폐교에 노인시설 짓도록 길 터
폐교부지, 사업자에 장기임대

지난해 2월 서울에서 네 번째로 폐교된 서울 광진구 화양초등학교에서 한 노인이 걷기 운동을 하고 있다. 학교는 서울지하철 2호선과 7호선 환승역인 건대입구역에서 도보 8분 거리에 자리하고 있다. 현재는 거주자전용 주차장 및 주민 체육공간으로 개방하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

지난해 2월 서울에서 네 번째로 폐교된 서울 광진구 화양초등학교에서 한 노인이 걷기 운동을 하고 있다. 학교는 서울지하철 2호선과 7호선 환승역인 건대입구역에서 도보 8분 거리에 자리하고 있다. 현재는 거주자전용 주차장 및 주민 체육공간으로 개방하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외딴 섬 같은 요양시설, 노인의 외로움 더 커져

서울 광진구 화양동에 사는 방미숙씨(64)는 5년 동안 집에서 보살피던 어머니를 얼마 전 경기도의 한 요양원에 모셨다. "엄마가 치매에 걸리셨어요. 요양원에서도 집에 보내달라고 밥도 안 드시고 자주 우신다고 하네요." 방씨가 눈물을 훔치며 말을 이어갔다. "마음은 찢어지는데 차로 40분 거리라 자주 갈 수가 있어야지요. 우리 동네 화양초등학교가 얼마 전 문을 닫았는데, 일본에서는 폐교에 요양원을 짓는 일도 흔하다고 하더라고요."


집에 살던 어르신도 24시간 기저귀 신세를 질 정도로 노쇠해지면 시설 입소를 피할 수 없다. 게다가 요양시설이 외딴 섬처럼 살던 곳과 멀리 떨어져 있으면 가족 면회는 줄고, 노인의 외로움은 커진다. 도심 내 폐교를 활용해 노인시설을 짓는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 방안이 주목받는 것은 그런 이유에서다.


늘어나는 서울 폐교 부지, 장기임대 길 열려

다행히 '저출산으로 서울 시내 폐교가 급격히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한 서울시의회가 폐교 부지에 노인복지주택을 짓도록 길을 열었다. 김규남 서울시의원이 발의한 '서울시 교육청 폐교자산 관리 및 활용 조례 개정안'이 지난해 통과됐다.


김규남 서울시의회 의원이 지난해 10월 22일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에서 인터뷰 하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

김규남 서울시의회 의원이 지난해 10월 22일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에서 인터뷰 하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김 의원은 "서울 땅값이 너무 비싸 시내에 노인복지주택을 짓는 게 쉽지 않다"며 "교육청이 폐교 부지를 장기임대해주면 서울 도심에 중산층 어르신을 위한 노인복지주택이 생길 수 있다"고 했다. 그는 폐교 활용 범위를 요양시설까지 넓힌다는 계획이다.


원본보기 아이콘

대다수 초·중·고등학교가 접근성이 좋은 곳에 있어 이웃이나 가족과 교류를 이어갈 수 있고, 살던 동네에 계속 머물면 어르신들도 환경 변화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빠르게 늘어나는 폐교를 활용한 노인 대책 필요

지난해 2월 서울에서 네 번째로 폐교된 서울 광진구 화양초등학교. 학교는 서울지하철 2호선과 7호선 환승역인 건대입구역에서 도보 8분 거리에 자리하고 있다. 현재는 거주자전용 주차장 및 주민 체육공간으로 개방하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

지난해 2월 서울에서 네 번째로 폐교된 서울 광진구 화양초등학교. 학교는 서울지하철 2호선과 7호선 환승역인 건대입구역에서 도보 8분 거리에 자리하고 있다. 현재는 거주자전용 주차장 및 주민 체육공간으로 개방하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서울시 교육청에 따르면 1990년 이후 지금까지 서울에서 폐교된 학교 수는 총 7개다. 1999년 강서구 오곡동 오곡초등학교가 폐교한 이후 20년 동안 없었지만 최근 몇 년 새 빠르게 늘고 있다. 2020년에 강서구 가양동의 염강초등학교와 공진중학교가 교문을 닫았다. 2023년에는 광진구 화양동 화양초등학교가, 작년에는 도봉구 도봉고등학교, 성동구의 덕수고 행당분교와 성수공고까지 줄줄이 세 군데가 없어졌다.


원본보기 아이콘
원본보기 아이콘

이 중에서 학교 용지가 팔린 사례는 오곡초등학교가 유일하다. '영구아트 심형래'가 2003년 8월에 부지 6800㎡를 27억3000만원 주고 샀다. 나머지 여섯 개 학교는 부지를 어떻게 쓸지 아직 계획이 없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지방에서 폐교는 체험학습장 같은 교육시설, 야영장 같은 문화시설로 이용하는 사례가 있다"며 "서울에서는 폐교 부지를 노인복지주택으로 활용하게 길을 터준 만큼 새로운 대안이 될 것"이라고 했다.


지난해 2월 서울에서 네 번째로 폐교된 서울 광진구 화양초등학교. 학교는 서울지하철 2호선과 7호선 환승역인 건대입구역에서 도보 8분 거리에 자리하고 있다. 현재는 거주자전용 주차장 및 주민 체육공간으로 개방하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

지난해 2월 서울에서 네 번째로 폐교된 서울 광진구 화양초등학교. 학교는 서울지하철 2호선과 7호선 환승역인 건대입구역에서 도보 8분 거리에 자리하고 있다. 현재는 거주자전용 주차장 및 주민 체육공간으로 개방하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서울 시내 폐교는 종전보다 빠른 속도로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해 4월 학생 수 기준으로 폐교 대상(초등학교 240명 이하·중고등학교 300명 이하)에 속하는 곳은 1317개(초등 609개·중등 390개·고등 318개)에 달한다.


서울시의회 관계자는 "폐교하려면 학부모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부모님들의 반대가 심하거나 총동창회, 지역사회에서 막는 경우가 있어서 전교 학생 수가 80명이 채 안 되는데 운영하는 곳도 있다"며 "향후 학생 수가 더 줄면 이런 곳도 폐교 절차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원본보기 아이콘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