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떨어진 기업들…유상증자↑·무상증자↓

작년 유상증자금 전년比 37.0%↑…무상증자주식수 36.8%↓


돈 떨어진 기업들…유상증자↑·무상증자↓ 원본보기 아이콘
지난해 상장법인의 유상증자 규모가 증가하고 무상증자 규모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는 최근 5년간 상장법인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현황이다.(자료 한국예탁결제원)

지난해 상장법인의 유상증자 규모가 증가하고 무상증자 규모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는 최근 5년간 상장법인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현황이다.(자료 한국예탁결제원)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박미주 기자]지난해 상장기업들의 유상증자는 늘고 무상증자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재원 부족에 시달린 것으로 풀이된다.한국예탁결제원은 지난해 유상증자금액이 전년보다 37.0% 증가하고 무상증자주식수는 36.8% 감소했다고 10일 밝혔다.

2013년 상장법인의 유상증자 규모는 11조2742억원(총 202사, 289건)이다. 전년 8조2296억원(189사, 262건)과 비교하면 3조446억원(37.0%) 증가했다.

유가증권시장법인은 70사, 9조6141억원으로 전년(64사, 7조234억원)대비 6사(9.4%), 2조5907억원(36.9%) 증가했고 코스닥시장법인은 132사, 1조6601억원으로 전년(125사, 1조2062억원)보다 7사(5.6%), 4539억원(37.6%) 늘어났다유상증자 금액 증가는 기업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제3자 배정 증자( 두산건설 등) ▲주주우선 공모( 한국가스공사 ) 금액 증가 ▲지주회사 전환을 위한 대규모 일반공모( 한국앤컴퍼니 )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배정방식별로 보면 두산건설, STX팬오션 등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가 진행 중이거나 재무구조가 부실한 기업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제3자 배정 방식으로 유상증자를 실시한 금액비중이 높았다. 제3자 배정 방식이 전체 증자금액의 62.2%인 7조164억원이었다. 주주우선공모방식은 16.0%인 1조8065억원, 주주배정방식은 8.0%인 8974억원, 일반공모 방식은 13.8%인 1조 5539억원이었다.

지난해 상장법인의 무상증자 규모는 51사, 54건, 2억8670만주로 전년(60사, 62건, 4억5380만주)보다 1억6710만주(36.8%) 줄어들었다.

유가증권시장법인이 17사, 9485만주로 전년(17사, 1억29만주)보다 증자주식수 기준으로 544만주(5.4%) 감소했다. 코스닥시장법인은 34사, 1억9185만주로 전년(43사, 3억5351만주)보다 9사(20.9%), 1억6166만주(45.7) 줄었다. 주식시장 정체와 기업실적 둔화 등 때문으로 해석된다.

무상증자 재원 중 주식발행초과금이 전체 대상회사의 92.6%를 차지했다. 무상증자 주식수가 가장 많았던 회사는 골든브릿지투자증권이다. 4500만주를 무상 증자했다.

무상증자 배정비율이 가장 높았던 회사는 도화엔지니어링으로 1주당 1.0주의 비율이었다. 이어 골든브릿지투자증권(1주당 0.96주), 한세엠케이 (1주당 0.51주) 등의 순이었다. 코스닥시장법인은 아이디스 (1주당 2.00036주), 골프존뉴딘홀딩스 · THE MIDONG (1주당 2.0주), 하이비젼시스템 (1주당 1.026주) 등의 순으로 배정비율이 높았다.

예탁결제원 관계자는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유상증자가 늘어난 반면 자본금이 늘었을 때 신주를 발행해 무상으로 지급하는 무상증자가 줄었다"며 "지난해 전반적으로 기업들의 이익재원이 부족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박미주 기자 beyon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