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 분식회계, 증선위 '4라운드'…금감원 '수정 조치안'에 이목 집중

금감원 특별감리 결과 후 2달째 이어지는 불확실성…증선위, 이달 중순 결론 낼까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여부를 가리기 위한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의 논의가 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16층 대회의실에서 열리고 있다. 증선위원장인 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이 논의에 앞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여부를 가리기 위한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의 논의가 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16층 대회의실에서 열리고 있다. 증선위원장인 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이 논의에 앞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가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제재안을 놓고 4번째 회의를 연다. 지난 5월1일 금융감독원 특별감리 결과가 나온 지 2달이 넘는 시간이 흘렀지만 합작사 콜옵션 행사, 증선위의 추가 제재안 요구 등이 잇따르면서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4일 증선위는 유령주식 배당오류 사태와 관련한 삼성증권 제재안 심의에 이어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제재 수위를 두고 정례회의를 개최한다. 증선위는 앞서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처리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한 차례 임시회의와 두 차례 정례회의를 열었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이날 회의는 첫 번째 정례회의와 같이 '대심제'로 진행한다. 다만 증선위가 2차 정례회의에서 금감원에 요구한 새로운 조치안에 대해서는 추가 논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 관계자는 "제재 원안에 대해서는 대심제를 적용하고, 추가 조치안은 별도로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기존 제재안의 쟁점은 2012~2014년 회계연도 주식매수청구권(콜옵션) 공시 누락, 삼성바이오에피스 지분가치 평가 산정 근거와 적정성, 2015년 회계처리 기준 변경 등이다.

시장의 관심은 증선위가 금감원에 요구한 수정 조치안에 쏠리고 있다. 금감원은 특별감리를 통해 2015년 회계처리 과정에서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종속회사에서 관계회사로 변경하면서 고의 분식회계를 했다는 판단을 내렸지만, 증선위는 2015년 회계처리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해 2012~2014년 회계처리에 대해서도 판단이 필요하다며 기존 제재안을 보완하라는 의견을 전달했다. 2015년 회계처리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해선 앞선 회계연도의 회계처리 흐름을 동시에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증선위가 요구한 추가 제재안은 이날 제출될 예정이다. 증선위 내부 논의를 통해 기존안과 병합할지 여부 등을 우선 판단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 임시회의를 개최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새로운 제재안이 기존 제재안에 어떤 영향을 줄지 예단하기 어렵지만 분식회계 고의와 과실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미국 바이오기업 바이오젠이 지난달 말 삼성바이오에피스에 대한 주식매수청구권(콜옵션)을 행사한 점도 변수로 꼽힌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앞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바이오젠의 공동 경영체제로 운영된다. 이에 분식회계가 아니라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장에 보다 힘이 실릴 것인지 주목된다.

증선위는 오는 18일 열리는 정례회의에서 제재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6월 중 마무리하겠다고 했으나 추가 조치안 등으로 절차가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시장 불안이 커지고 있다"며 "필요하다면 임시회의를 개최해 중순께 최종 결정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