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시한폭탄, 취약차주 빚 85조원 돌파

가계부채 시한폭탄, 취약차주 빚 85조원 돌파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빚 갚을 능력이 부족한 취약차주의 부채규모가 처음으로 85조원을 돌파했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취약차주의 대출이 꾸준히 증가했다. 금리 상승기에 취약차주의 어려움이 커질 가능성이 있어 정부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한국은행이 20일 발간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말 국내 취약차주의 대출규모는 총 85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 기록했던 82조7000억원 대비 2조4000억원 증가한 규모다. 전체 가계대출 1409조9000억원에서 6%를 차지한다.

취약차주는 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하위 30%)이거나 저신용(7~10등급)인 차주를 말한다. 국내 취약차주는 149만9000여명으로 전체 가계대출자 1895만4000여명의 7.9% 수준이다.취약차주 대출 규모는 2015년 이후 3년 연속으로 늘어나는 중이다. 2015년 73조5000억원이던 취약차주 대출은 2016년 78조5000억원, 2017년 82조7000억원으로 늘었다.
가계부채 시한폭탄, 취약차주 빚 85조원 돌파 원본보기 아이콘


취약차주들은 대출의 질도 나빴다. 2분기 말 기준으로 취약차주의 금융기관별 대출 비중은 비은행이 65.5%로 비취약차주의 41.5%를 크게 웃돌았다. 은행에서 대출받기 어려운 취약차주들이 대출금리가 높은 상호금융과, 신용카드사, 대부업 등 비은행금융기관을 주로 이용했기 때문이다.

신용대출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취약차주의 전체 가계대출에서 신용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분기 말 43.1%로 비취약차주의 23.6% 보다 두배 가까이 높았다. 2014년 41.3%였던 취약차주의 신용대출 비중도 매년 오르는 추세다. 취약차주는 부동산 등의 담보가 상대적으로 부족해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취약차주 증가는 금리인상기에 큰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다는 평가다. 한은 관계자는 “대출금리 상승시 취약차주의 채무상환 어려움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며 “취약차주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등 정책적 대응 노력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취약차주 뿐 아니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계부채도 금융안정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가계부채는 정부대책 등으로 증가세가 둔화됐지만 가계부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상회하는 현상은 지속되고 있다.
가계부채 시한폭탄, 취약차주 빚 85조원 돌파 원본보기 아이콘


지난 2분기 말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61.1%로 지난해 말 159.8% 대비 증가했다. 같은 기간 명목GDP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83.8%에서 84.8%로 커졌다. 소득이 늘어나는 속도보다 부채가 늘어나는 속도가 빨라 가계의 재무상황이 나빠지고 있다는 의미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해외 주요국을 크게 상회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16년까지 한국의 가계부채 증가속도는 연평균 3.1%포인트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0.4%포인트를 크게 상회했다. 통계 확보가 가능한 30개국 중에서 한국보다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빨랐던 나라는슬로바키아, 벨기에, 룩셈부르크 등 3개국 뿐이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부채가 크게 누증된 상황에서 가계부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계속 상회할 경우 우리 경제의 소비 및 성장을 제약하고 금융시스템의 잠재 리스크를 증대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