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이용 인구 1200만명, 동호회 활성화
수백, 수천만 원 호가하는 로드바이크 등 수요 커져
자전거 절도 범죄 건수 다른 절도 범죄 유형보다 많아
직장인 김모씨(36)는 지난해 산악자전거 동호회에 가입하면서 600만원짜리 자전거를 구매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서울 중랑구 봉화산 입구 인근에서 도둑을 맞았다. 철제 기둥에 묶어뒀지만 소용없었다.
자전거 이용 인구가 1200만명에 달하고 동호회도 활성화된 시대다. 그런데 '중고차 한 대 가격'이라는 자전거를 노린 도둑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자전거 가격은 점점 비싸지는 추세다. 자전거 동호회 회원을 중심으로 수백만 원, 수천만 원을 호가하는 로드바이크, 산악자전거, 전기자전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다. 신정휘씨(38)는 "회원 간 모델별 성능 비교도 활발하고, 가격이 비쌀수록 동호회 내 위상이 높아질 수밖에 없어 무리해서라도 비싼 자전거를 사는 회원들이 있다"고 했다.
경찰청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자전거 절도 범죄 건수는 1만1555건으로 상점 절도(4126건), 빈집 절도(2947건), 소매치기(247건) 등 다른 절도 범죄 유형보다 많았다. 경찰 관계자는 "자전거 전문 털이범들에게 동호회 모임이 활발한 지역이나 CCTV가 적은 산책로 인근은 단골 범행 장소"라고 했다.

피해자 일부는 직접 도둑잡기에 나서보기도 한다. 이 경우 주로 중고거래 사이트를 통해 장물을 살펴보는데 최근 들어 절도범들이 자전거를 휠셋, 프레임, 안정, 변속기 등으로 분해해 되팔기도 해 별 소득이 없다고 한다.
이 때문에 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철저한 예방 조치와 함께 공공장소의 CCTV 인프라 확충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곽대경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고가 자전거일수록 소유주가 잠금장치를 생활화하고, 도난 경보기를 비롯한 보안 장치를 부착하는 등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