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파트너스하우스를 간담회 장소로 이용하는 것을 '공관정치'라고 비판한 서울시의원의 지적에 대해 "상식적이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신선종 서울시 대변인은 6일 오후 입장문을 통해 "시민 개방 시설인 서울파트너스하우스를 서울시장이 간담회 등 소통 장소로 대관하여 사용하는 것이 비난 받을 일이냐"며 이같이 전했다. 2009년 개관한 서울파트너스하우스는 중소기업 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의 숙박·회의장 시설이다.
앞서 이민옥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의원은 서울파트너스하우스에서 열린 간담회에 오 시장의 참여 실적을 두고 "시청에 시장실이 있음에도 서울파트너스하우스에서 대부분의 주요 정책간담회를 진행하는 것은 호화로운 공관에서 '공관정치'를 하려는 의도로 밖에 볼 수 없다"고 했다. 이 의원 분석에 따르면 2023~2024년 전체 435건의 시설 사용 중 54%가 시정간담회 등 '교류 협력' 목적으로 사용됐는데, 이 간담회 중 97%에 오 시장이 참석했다.
서울파트너스하우스의 당초 용도가 시장 공관이었지만, 오 시장이 2008년 '중소기업 지원 공간'으로 활용하자고 제안했다는 것이 신 대변인의 설명이다. 그는 "민주당의 박원순 전 시장이 호화 주택을 공관으로 사용하는 것에 부정적이었던 것에 부정적이었던 오 시장은 보궐선거 당선 후부터 2023년 4월까지 개인 비용으로 아파트에 세 들어 살았다"며 "그러다 이른 새벽 집단 시위로 단지 내 주민들 피해가 커지자 현재 파트너스하우스 일부를 관사로 개조해 활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파트너스하우스 시설이 중소기업 지원과 시정활동 양 기능을 모두 수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신 대변인은 "시장관사로 쓰고 있는 3층을 제외한 공간은 기존대로 중소기업 지원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서울파트너스하우스 대관시설 활용 간담회를 활성화한 것에는 예산절감 등 이유도 있다"고 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