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녹지지역도 ok, 중산층 맞춤형"…서울시 어르신안심주택 구체화

서울시, 공공지원민간임대 사업 설명회

서울시가 초고령화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어르신 안심주택’을 자연녹지지역이나 제1종일반주거지역에서도 공급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지역에서도 종 상향해 단지형 주택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연녹지지역도 ok, 중산층 맞춤형"…서울시 어르신안심주택 구체화 원본보기 아이콘

21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 17일 자치구 공무원, 사업시행자, 주택사업 관련 협회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어르신 안심주택’을 포함해 서울시의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사업을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다.


어르신 안심주택은 만 19~39세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청년안심주택의 사업 모델을 고령자 대상으로 바꾼 것이다. 다만 100% 임대로만 공급되는 청년주택과 달리, 사업성 제고를 위해 분양 물량(20%)을 넣었다. 임대주택은 공공과 민간이 각각 20%, 50%를 최소 비율로 넣는다. 임대료는 청년안심주택처럼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다. 민간임대는 주변 시세의 75~85%, 공공임대는 30~50% 수준으로 공급한다.

시는 공급 확대를 위해 대상지도 넓혔다. 어르신 안심주택은 올해 초 지역사회와의 접근성에 중점을 두고 역세권이나 간선도로변, 보건기관과 2·3차 종합병원 인접 지역으로 대상지를 제한했다. 이후 조례와 운영기준을 수립하면서 자연녹지지역과 제1종일반주거지역에도 지을 수 있게 했다. 실버타운과 같이 규모가 큰 ‘단지형 어르신 안심주택’도 계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김훈 청년주택계획팀장은 "자연녹지지역도 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종상향해 사업을 할 수 있다"며 "서울 근교에 요양시설이 있는데 이런 수요를 맞추겠다는 취지"라고 말했다.


안심주택의 입주 대상자는 중산층 또는 중하위층 고령자들로 잡았다. 고소득 계층에 특화된 노인복지주택, 저소득층에 지원되는 임대주택과 달리 이들을 위한 주거시설은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김 팀장은 "당초 까다로운 BF(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을 받도록 할 생각이었으나 임대료가 너무 오를 거라 판단했다"며 "무장애 설계 가이드라인을 준수해 필수적인 시스템이 들어갈 수 있도록 수정했다"고 말했다. 커뮤니티도 공용식당과 영양센터 등 필수적인 시설만 넣는다. 수영장과 같은 생활체육시설, 의료센터는 자치구의 구민체육센터 등과 연계해 공유하는 방향으로 조정했다.


시는 내년까지 3000가구 이상 사업계획승인을 내는 것이 목표였으나 현재까지 진척이 없는 상태다. 김 팀장은 "상담은 50건 정도 있었으나 인허가 신청이 들어온 건 아직 없다"며 "인허가 절차를 6개월로 단축하고, 사업비 보증 연계와 이자 차액 지원 등으로 사업을 적극적으로 독려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자리에서는 어르신 안심주택 외에도 1인 가구 서울형 공유주택(임대형 기숙사), 신혼부부 안심주택이 소개됐다.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