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주택 매수자 중 20~30대는 주식 매각, 40~50대는 기존 주택 처분으로 비용을 마련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세금을 받아 집값을 충당하는 갭투자는 상대적으로 줄고, 주식까지 팔아 집을 사는 '영끌족'은 증가했다.
14일 국토교통부가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주택 자금조달계획서상 자금조달 방법별 구분'을 보면, 올해 8월(계약일 기준)까지 자금조달계획서를 제출한 8만969명 가운데 '부동산 처분 대금'으로 자금을 조달하겠다고 신고한 비율은 57.9%였다. 이 비율은 2022년 27.0%에서 지난해 55.5%로 대폭 늘었는데, 올해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렇듯 집값 상승세를 이용한 '상급지 갈아타기'로 자금을 충당한 사례를 연령별로 보면 40대 이상은 65.4%, 50대에서는 57.0%, 30대는 51.8%로 집계됐다.
'주식·채권 매각대금'으로 자금을 조달하겠다고 신고한 비율은 2022년 4%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6.3%, 올해 1~8월 13.8%로 급증했다. 특히 주식을 팔아 집을 산 20~30대는 2022년 5.9%에서 2년 새 17.0%로 3배 가까이 늘었다. 40~50대 역시 이 비율이 3.4%에서 12.9%로 늘었다.
자금 출처가 금융기관 대출액이라고 신고한 주택 매입자는 지난해 44.1%에서 올해 1∼8월 68.7%로 증가했다. 특히 올 7월까지 5억원 이상 고액대출이 7874건으로, 2021년 한 해 동안 기록한 3205건 대비 145.7%나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5억원 이상 고액대출은 2021년 전체 신고 건의 8.1%였으나 올해는 38.5%에 달한다. 2021년 10건 중 1건도 안 되는 고액대출 거래가 올해는 4건으로 높아진 셈이다. 연령별로 보면 5억원 이상 고액대출의 44.7%가 2030세대로 가장 높았고 40대도 39.8%를 차지했다. 고액대출 거래 10건 중 9건 정도가 청년층인 셈이다.
반면 갭투자 비중은 작아졌다. 전세금을 그대로 승계해 주택을 구입하겠다고 신고한 비율은 36.8%로 2022년 44.6%에서 지난해 35.8%로 떨어진 기조가 유지됐다.
국토부는 거래가액이 6억원을 초과하거나 투기과열지구(강남·서초·송파·용산구)에 속한 주택을 매수할 때 자금조달계획서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서울은 올해 아파트 실거래가 평균이 11억원을 돌파해 사실상 대부분의 거래 시 자금조달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