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다' 대신 '오랑우탄 외교' 말레이시아 "팜유 수입국에 선물"

세계 최대 팜유 생산국 말레이시아
환경 파괴 비판 여론 무마 목적

중국의 '판다 외교'에서 영감을 얻은 말레이시아가 '오랑우탄 외교'에 나선다. 자국의 팜유 생산에 대한 환경 파괴 비판 여론을 무마하기 위해 주요 팜유 수입국에 오랑우탄을 선물할 방침이다.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조하리 압둘 가니 말레이시아 산업상품부 장관은 전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외교 전략의 일환으로 무역 파트너, 특히 유럽연합(EU), 인도, 중국과 같은 주요 수입국에 오랑우탄을 선물할 계획"이라며 "'오랑우탄 외교'를 통해 우리가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음을 국제사회에 증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오랑우탄 외교'는 지난해 EU가 삼림벌채 지역에서 생산된 주요 상품에 대해 강도 높은 규제를 부과한 후 나온 고육지책이다. EU는 산림 황폐화를 막는다는 명분으로 삼림벌채와 관련된 팜유, 커피, 고무 등에 대한 수입과 판매를 사실상 금지한 바 있다.


팜유는 팜나무에서 추출되는 식물성 기름으로 값이 저렴해 아이스크림, 마가린, 비누, 립스틱 등 다양한 상품 제조에 쓰인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팜유 농장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열대우림이 무분별하게 파괴돼 오랑우탄과 같은 멸종위기종의 서식지가 사라지고 있다고 비판해왔다.


세계 최대 팜유 생산국인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는 팜유 생산으로 환경이 파괴된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으며 EU의 수입 규제는 차별적인 조치라고 반발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오랑우탄 선물로 외교적 관계를 회복하는 동시에 환경파괴 우려를 잠재워보고자 했으나 이마저도 야생동물보호단체들의 원성을 듣고 있다.

국제 환경 단체 세계자연기금(WWF)은 "야생동물을 다른 나라로 보낼 것이 아니라 원래 서식지에 보존해야 한다"며 "팜유 농장에 오랑우탄을 위한 안전한 이동 통로를 확보함은 물론 숲을 팜유 농장으로 개발하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숲의 사람’이란 뜻을 지닌 오랑우탄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등이 있는 보르네오섬과 수마트라섬의 열대우림에서 주로 발견되는 멸종위기종으로 개체 수가 약 12만마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