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16일 국무회의서 총선 입장…비서실장·총리 등 인적쇄신 주목

대야 협치·인선 방향 나올지 관심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국무회의에서 4·10총선 패배 관련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15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국무회의를 생중계로 진행하고, 모두발언에서 총선과 관련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앞서 윤 대통령은 총선 다음날인 지난 11일 이관섭 비서실장을 통해 "총선에 나타난 국민의 뜻을 겸허히 받들어 국정을 쇄신하고 경제와 민생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낸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여당의 총선 참패 이후 14일 이란의 이스라엘 공습 관련 경제·안보 긴급회의를 제외하고는 일정을 최소화하면서 대국민 메시지 발표에 고심을 거듭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대국민 담화, 기자회견 등이 대통령실 참모진 사이에서 검토됐지만, 구체적인 국정 쇄신 방향 등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국무회의가 선택됐다는 분석이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차기 국회와의 협력을 위한 제스처가 나올지도 관심사다. 21대 국회에 이어 22대 국회도 여소야대가 형성되면서 국정과제와 관련된 입법을 위해 협치가 필요가 이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총선 이후 윤 대통령에게 회동을 요청한 바 있다.


아울러 총선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한 한덕수 국무총리, 이 비서실장·대통령실 수석 등의 후임 인선에 대한 방향도 언급할 가능성도 있다. 총리 후보군으로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주호영 국민의힘 의원 등, 비서실장에는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 등이 언급된다.

대통령실 내부에서는 공직기강비서관실과 법률비서관실을 관장할 법률수석비서관실 신설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정수석실에서 사정 기능만 빼고 되살려 민심 관련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구상하는 방안이다. 각종 논란을 빚어온 시민사회수석실은 기능을 축소해 정무수석실로 통폐합하는 방안도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