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조 사우디 플랜트 공사 삼성E&A·GS건설이 따냈다(종합)

사우디 아람코와 파달리 프로젝트 계약
해외건설 수주 규모 역대 3번째

삼성E&A(구 삼성엔지니어링)와 GS건설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72억달러(약 9조7000억원) 규모 해외 플랜트 수주에 성공했다. 우리 기업의 사우디 수주 역사상 가장 큰 규모다. 전세계 해외건설 수주 사업 중에서도 아랍에미리트연합의 바라카 원전(2009년, 191억달러),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2012년, 77억달러)에 이어, 세 번째로 크다. 대통령실은 이번 수주를 윤석열 대통령의 정상 외교 성과 중 하나로 평가하며, 올해 해외 건설 수주 목표인 400억 달러 달성에도 청신호가 커졌다고 기대했다.


사우디아라비아 파딜리 가스플랜트 공단 전경(사진제공=GS건설)

사우디아라비아 파딜리 가스플랜트 공단 전경(사진제공=GS건설)

원본보기 아이콘


삼성E&A 창사 이래 최대 규모 수주

3일 삼성E&A에 따르면 남궁 홍 사장은 지난 2일 사우디 다란의 아람코 플라자 콘퍼런스 센터에서 진행된 ‘파딜리 가스 증설 프로그램 패키지 1번, 4번(Fadhili Gas Increment Program Package 1&4)’ 서명식에 참석해 수주 계약서에 서명했다.

삼성E&A 남궁 홍 사장(앞열 왼쪽), 야흐야 아부샬 부사장(앞열 오른쪽)이 사우디 아람코와 '파드힐리 가스 증설 프로그램 패키지 1, 4번' 공사를 수주하고 서명식을 진행했다.(사진제공=삼성E&A)

삼성E&A 남궁 홍 사장(앞열 왼쪽), 야흐야 아부샬 부사장(앞열 오른쪽)이 사우디 아람코와 '파드힐리 가스 증설 프로그램 패키지 1, 4번' 공사를 수주하고 서명식을 진행했다.(사진제공=삼성E&A)

원본보기 아이콘

수주 금액은 약 60억달러(8조원)로, 삼성E&A 창사 이래 최대 규모다. 발주처인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석유회사 아람코(Aramco)에서는 와일 알 자파리(Wail A. Al Jaafari) 부사장, 야흐야 아부샬(Yahya A. Abushal)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파딜리 가스 증설 프로그램은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 북동쪽 350km에 위치한 기존 파딜리 가스 플랜트의 용량을 확대하는 사업이다. 삼성E&A는 가스처리시설을 건설하는 패키지 1번과 유틸리티·부대시설을 건설하는 패키지 4번을 수행한다. 프로젝트가 완공되면 하루 가스 처리량은 기존 25억 입방피트(2500 MMSCFD)에서 38억 입방피트(3800 MMSCFD)로 늘어난다.


2017년 이후 첫 중동 대형 수주

같은 날 허윤홍 GS건설 대표도 이 행사에 참석해 12억2000달러(1조6000억원) 규모 ‘파딜리 가스 증설 프로그램 패키지 2번’ 황회수처리시설 공사 수주에 마침표를 찍었다. 이 공사는 올해 수주한 첫 해외 플랜트 사업이다. 중동 지역에서는 2017년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수주한 2조원 규모 RRW 프로젝트(RRW Units Restoration Project) 이후 첫 수주 건이기도 하다.

2일 사우디아라비아 알코바(Al Khobar)에서 파딜리 가스 증설 프로그램 계약을 체결한 후 허윤홍 GS건설 대표(사진 왼쪽)와 야흐야 아부샬 부사장(오른쪽) 등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GS건설)

2일 사우디아라비아 알코바(Al Khobar)에서 파딜리 가스 증설 프로그램 계약을 체결한 후 허윤홍 GS건설 대표(사진 왼쪽)와 야흐야 아부샬 부사장(오른쪽) 등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GS건설)

원본보기 아이콘

GS건설은 1일 800t 규모의 황을 회수할 수 있는 황회수시설 3기를 건설한다. 또 설계, 구매, 시공, 시운전 지원까지 프로젝트 전 영역에 걸친 사업을 수행한다. 황회수처리시설은 가스 정제과정에서 발생하는 황을 포집하고 재활용하는 고도화 설비다. 유전에서 생산된 가스에 포함된 유독물질인 황을 포집해 생산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순도 높은 황을 활용해 경제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정부 메가 프로젝트 수주 전방위 지원

삼성E&A는 "아람코 프로젝트에서 보여준 혁신 성과"를 수주 배경으로 꼽았다. 아람코 경영진은 이번 서명식에서 자푸라 프로젝트에 적용한 모듈 기술 등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E&A는 현재 사우디에서 자푸라 가스처리, 우나이자 가스저장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다.


GS건설은 최근 신규 발주가 늘어나면서 그간 쌓아온 역량을 바탕으로 수주전 참여를 타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GS건설 관계자는 "지난 50여년간 국내외에서 쌓아온 다양한 건설 역량과 다수의 해외 EPC 플랜트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이끌어 낼 것"이라며 "GS건설 사업 포트폴리오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플랜트 사업의 내실 강화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사우디아라비아 파딜리 가스 증설 프로그램 현장 위치도

사우디아라비아 파딜리 가스 증설 프로그램 현장 위치도

원본보기 아이콘

대통령실은 이번 수주를 윤 대통령의 정상 외교 성과로 분석했다. 윤 대통령은 2022년 11월 모하메드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겸 총리와 회담을 가진데 이어, 지난해 10월 사우디아라비아 국빈 방문 시 양국 공동성명을 통해 건설·인프라 협력 강화를 약속했다.


또한 올초부터 지난 2일까지 해외건설 수주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61억1000만달러)의 2배를 넘은 127억2000만달러에 달하게 됐다며 올해 수주 목표인 400억달러 달성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통령실은 이 같은 양국 정상 간 신뢰를 바탕으로 아람코, 국부펀드(PIF), 네옴 등 주요 발주처의 인프라·플랜트·스마트시티 등 메가 프로젝트 수주를 전방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