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끝나면 물가 더 오르나"…소비자 불안감 커지는 이유[조선물가실록]

⑪총선 10여일 앞두고 물가 불안↑

제22대 4·10 총선이 1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총선이 끝나면 물가가 더 오를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물가 상승을 자극하는 외부 요인이 산재한 데다 그간 인상을 미뤄온 공공요금이 줄줄이 인상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다.


소비자들의 1년 후 물가 상승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5개월 만에 반등했다. 한국은행이 지난 26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3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달보다 0.2%포인트 오른 3.2%를 기록했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해 10·11월 3.4%, 12월 3.2%, 올해 1·2월 3.0% 등 하락세가 이어졌다. 하지만 최근 사과·배 등 농산물 가격 급등으로 체감물가가 올랐고, 국제유가 상승 소식과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반등했다. 소비자들이 꼽은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 역시 농축수산물(63.4%), 공공요금(54.2%), 석유류 제품(27.0%) 순이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총선 이후 고물가 불안감…①국제유가 상승 ②공공요금 인상 우려 ③생산자물가지수↑

"총선 끝나면 물가 더 오르나"…소비자 불안감 커지는 이유[조선물가실록] 원본보기 아이콘

과거 사례를 보면 총선 직후 물가상승률이 급등한다는 것은 기우에 가깝다. 19대·20대·21대 총선 당시에도 선거가 끝나고 특별히 물가가 급등하는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소비자물가지수 등락률을 보면 19대 총선 이후인 2012년 5월은 0.2%, 2016년 5월 0.1%, 2020년 5월 -0.1% 등을 기록했다. 연도별 등락률이 각각 2.2%, 1.0%, 0.5%였던 만큼 총선 직후 급작스러운 물가상승은 없었던 셈이다.


그럼에도 22대 총선 이후 '진짜 고물가'가 닥칠 것이라는 불안감이 커지는 것은 산유국 감산 연장과 불안한 국제정세 등이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3일(현지시간)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는 하루 총 220만배럴의 자발적 원유 감산을 올 2분기까지 연장키로 했다.


여기에 중동지역의 긴장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에너지 가격의 불안 요인이 되고 있다. 올해 글로벌 원유 수요 둔화 우려, 사우디아라비아의 원유 가격 인하 등으로 국제유가가 하락했으나 중동 지역 불안이 격화하면서 최근 다시 80달러 초중반대로 상승했다. 우크라이나가 지난 25일 러시아 정유시설을 공격하면서 국제 유가를 자극했다.

공공요금 인상으로 인한 물가 충격 우려도 있다. 정부는 지난 1월 발표한 2024년 경제정책방향에서 공공요금 상반기 동결 원칙을 내세웠지만, 한국전력공사의 재정 상황이 임계점에 다다른 만큼 하반기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이 나온다. 현재 한전의 누적적자는 43조원, 부채는 200조원이다.


물가 선행지표인 생산자물가지수도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2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2.21(2015년 100기준)으로 전월 대비 0.3% 올랐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이 내렸지만 농림수산품, 공산품 등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생산자물가의 전월 대비 상승률은 유가 움직임에 따라 지난해 10월(-0.1%)과 11월(-0.4%)에 하락했지만 12월(0.1%)과 올해 1월(0.5%)에는 상승세로 돌아섰다.


금융당국은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정점을 지나 추세적으로 낮아지고는 있지만 대내외 정책 여건의 불확실성이 변수라고 꼽았다. 한은은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물가상승률은 국제유가 급등과 같은 추가적인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추세적으로 둔화할 것"이라면서도 "지정학적 리스크, 농산물 등 생활물가의 높은 오름세를 감안할 때 당분간 둔화 흐름이 평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