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억 투입, 대구 국가로봇테스트필드 구축 본격화

산업부, 첨단로봇경제전담TF 가동
대구 달성군 5만평 부지에 조성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서울 무역보험공사 6층 중회의실에서 강경성 1차관 주재로 '첨단로봇 경제 전담반(TF)' 1차 회의를 개최하고 국가로봇테스트필드 구축 등 지난해 12월 발표한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의 후속 조치 이행을 본격화했다고 밝혔다.


첨단로봇 경제 TF는 강경성 1차관을 위원장으로 2개 분과, 37명의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하고 기술개발, 인력양성, 보급, 제도개선 등 첨단로봇산업 육성을 위한 실행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로봇산업의 실증과 사업화의 중심 기능을 수행할 국가로봇테스트필드의 실행계획을 발표하고 약 2000억 원을 투입하여 대구시 달성군에 16만6973㎡(약 5만509평) 규모로 올해부터 본격 조성에 착수한다. 국가로봇테스트필드는 2027년부터 시범 운영을 개시할 예정이다,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조감도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조감도

원본보기 아이콘

이날 산업부(정책지원), 대구시(부지확보, 인허가지원),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집행관리), 한국로봇산업진흥원(사업총괄, 인프라 구축)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성공적인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인프라 조성을 위해 기관간 협업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TF에서는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이외에도 첨단로봇 기술개발 로드맵, 2024년도 규제혁신 추진실적과 계획, 첨단로봇 보급확산 추진방향 등에 대한 안건 발표와 논의가 진행됐다.

첨단로봇 기술개발 로드맵은 로봇 전문가와 논의를 통해 제조 로봇, 서비스로봇, 플랫폼, 부품, SW 등 5개 분야, 67개 핵심기술을 제시했다.


한편 지난해 3월 발표한 첨단로봇 규제혁신 방안은 51개 과제 중 20개 과제를 완료하였고, 올해에는 순찰 로봇, 방역 로봇 도입을 위한 지침 제·개정 등 20개 이상 과제 완료를 목표로 속도감 있게 개선할 예정이며, 신규 규제개선 과제도 지속 발굴한다.


첨단로봇 보급확산 추진 방향에 대한 논의에서는 공공, 민간 분야에 로봇 보급확산을 위한 정부의 역할과 로봇 거리 조성 등 지역별 보급전략 등이 제시되었다. 이날 논의된 안건은 구체화 되는대로 로봇산업정책심의회(위원장: 산업부 장관)에 상정, 확정할 예정이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