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3명 중 1명은 '제2의 코로나' 걱정…MZ는 '돈 걱정'

MZ, 환경오염 우려도 높지만 실천은 부족

코로나19가 종료되고 엔데믹(감염병 주기적 유행)화했지만 여전히 한국인 대다수는 신종 전염병에 대한 불안감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인 3명 중 1명꼴로 신종 전염병을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으로 꼽았다. 반면 젊은 세대들은 경제적 위험과 범죄 등을 걱정했다.


통계개발원이 11일 세대별 사회안전 및 환경의식 현황을 분석해 발표한 '세대별 사회 안전 및 환경 의식' 보고서에 따르면, Z세대(14~25세)를 제외한 전 세대에서 '신종 질병 발생'을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불안요인으로 꼽았다.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원본보기 아이콘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21%가 '신종 질병 발생'을 1순위 불안 요인으로 꼽았다. 건강에 민감한 고령 세대일수록 신종 질병 발생을 1순위 불안 요인으로 꼽는 비중이 높았다. 시니어 세대(65세 이상)는 30.2%, 베이비붐 세대(56~65세)는 23.3%, X세대(40~56세)는 19.0%, M세대(25~40세)는 18.4%, Z세대(14~25세)는 17.3%가 이같이 답변했다.

전체의 14.5%는 국가안보 문제를 1순위 불안 요인으로 답했다. 시니어 세대가 19.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베이비붐 세대가 17.2%, X세대가 14.8%로 고령 세대에서 국가안보 문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다.


반면 젊은 세대들은 경제적 위험과 범죄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불안 요인으로 평가했다. 경제적 위험을 1순위로 꼽은 비중은 X세대가 15.0%, Z세대가 14.7%, M세대가 14.6%로, 경제활동이 활발한 X세대와 MZ세대(밀레니얼+Z세대)의 응답 비중이 높았다.


젊은 세대들은 경제적 위험과 범죄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불안요인으로 평가했다. [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

젊은 세대들은 경제적 위험과 범죄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불안요인으로 평가했다. [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

원본보기 아이콘

특히 MZ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범죄에 대한 불안을 1순위로 응답한 비중이 높았다. Z세대는 18.9%로 '신종 질병 발생(17.3%)'보다 비중이 높았고, M세대는 17.6%로 전 세대 중 두 번째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환경문제를 1순위로 꼽은 비중은 8.4%밖에 없었지만 환경오염 관련 불안감을 느끼는 비중은 높았다. 전 세대에서 기후변화(45.9%)와 미세먼지(64.6%) 관련해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X세대는 69.0%가 미세먼지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M세대(47.8%), X세대(47.7%), 베이비붐세대(43.0%)는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불안이 40%를 상회했다.


하지만 MZ세대는 높은 불안감에 비해 실천은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별 환경오염 방지 노력을 살펴보면,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는 베이비붐 세대(91.8%)와 시니어 세대(90.7%)가 높고, Z세대(77.3%)와 M세대(81.9%)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합성세제 사용 줄이기 역시 베이비붐 세대(75.8%)와 시니어 세대(73.4%)가 높고, Z세대(52.5%)와 M세대(52.0%)가 낮은 편으로 조사됐다.


여성이 남성보다 환경에 대한 불안감이 더 컸다. 기후변화에 대해서는 남성이 42.5%만 불안감을 느낀다고 밝힌 데 비해 여성은 49.3%가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했고, 미세먼지에 대해서는 남성이 61.7% 불안감을 느낀 데 비해 여성은 67.6%가 불안감을 느꼈다. 유해화학물질에 대해서는 남성(38.7%)과 여성(46.3%) 간 인식 격차가 7.6%포인트나 났다.





세종=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