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2도]'파묘'가 반일주의를 부추긴다는 착각

모두의 상흔 보듬으려는 종교 본연의 태도 담아
반일 논쟁, 치유에 도움 안돼

"반일 주의를 부추기는 영화 '파묘'에 좌파들이 몰리고 있다." 영화 '건국 전쟁'의 김덕영 감독이 26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남긴 글이다. 고개가 갸우뚱 기울어진다. '파묘'는 시종일관 인간 생활의 고뇌를 해결하고 삶의 궁극적 의미를 추구하는 종교 본연의 태도를 보여준다. 세대는 물론 성별, 국적, 종파에 구분 없이 모두의 상흔을 보듬고자 한다.


[영상2도]'파묘'가 반일주의를 부추긴다는 착각 원본보기 아이콘

일련의 과정은 땅을 파헤치는 행위로 나타난다. 의뢰인은 친일파 관료의 손자 박지용(김재철). 산소가 훼손돼 자손들이 안 좋은 영향을 받는다고 믿는다. 풍수사 김상덕(최민식)은 대번에 악지(惡地)임을 알아챈다. 잘못 손대면 줄초상이 날 수 있다며 착수를 거절한다. 하지만 간곡한 한 마디에 마음을 고쳐먹는다. "제 아들 좀 살려주세요."

박지용은 김상덕 등의 고군분투로 뜻을 이룬다. 조부의 혼령도 고통에서 벗어난다. 일본과 관련한 모든 것을 몰아내고자 했다면 결과는 정반대여야 한다. 하지만 장재현 감독은 단순한 폭력을 전시하지 않았다. 오히려 조부를 사후에도 일제에 이용당하고 후손에게 버림받는 딱한 존재로 그렸다. 그걸 인지하고도 여전히 일제에 충성하는 모습을 담아 인간적 연민까지 유발했다.


후반부에 등장하는 오니(일본 요괴)를 빼닮은 정령도 사후에 이용당하기는 매한가지다. 북쪽으로 전진하라는 대사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참수당했다는 설명에서 고니시 유키나가가 연상된다. 어릴 때 가톨릭에 입교해 아우구스티노라는 세례명을 받은 다이묘다. 종교적 믿음을 이유로 할복을 거부해 비웃음의 대상이 됐다. 목은 베어져 높은 곳에 걸리고, 몸은 따로 매장됐다고 전한다.


[영상2도]'파묘'가 반일주의를 부추긴다는 착각 원본보기 아이콘

'파묘'에서 정령은 다이토구에 안장되나 일제강점기에 파헤쳐져 강원도 고성으로 온다. 척추에 칼이 꽂힌 채로 관에 봉인돼 쇠말뚝이 된다. 전사(前史)에 담긴 비통과 수모는 반일 주의와 거리가 멀다. 그것이 사라진다고 한반도에 평화가 찾아오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맞섰던 이들은 하나같이 후유증을 겪는다. 김상덕은 상처가 아물지 않고, 장의사 고영근(유해진)은 장례에 집중하지 못한다. 무당인 이화림(김고은)과 법사인 윤봉길(이도현)도 환영에 시달린다. 일제의 잔재를 없앴으나 민족적 상흔은 가시지 않은 셈이다.

우리도 같은 땅과 시간 속에서 연속성을 피할 수 없다. 반일이냐, 친일이냐의 논쟁은 치유에 어떤 도움도 되지 않는다. 그저 불화와 반목을 조장할 뿐이다. 장 감독은 서로가 끈끈하게 묶여 아픈 흔적을 기억하자고 권유한다. 그 형태는 혈족의 신체와 정신세계를 이어주는 핏줄이 아니다. 민족의 그것들을 연결하는 더 큰 단위의 땅이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