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구·종로·성동구 탄소중립 폐원단 재활용 협약 체결

16일 환경부 · (사)한국섬유자원순환협회와 폐원단 재활용체계 구축 협약
자투리원단, 재질별로 분리해 흡음제 ? 산업용 보루 등으로 재탄생

동대문구·종로·성동구 탄소중립 폐원단 재활용 협약 체결 원본보기 아이콘

서울 동대문구(이필형 구청장)가 16일 환경부, (사)한국섬유자원순환협회, 종로 · 성동구와 함께 ‘폐원단조각 재활용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구는 폐원단조각을 체계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됐다.

협약에 따라 앞으로 봉제업체는 재질별로 폐원단을 분리해 재활용할 원단을 녹색마대에 담아 배출하면 된다.


녹색마대는 (사)한국섬유자원순환협회가 제작해 봉제업체로 무상 배부, 분리 배출된 폐원단은 재활용업체로 전달돼 흡음제·산업용 보루(걸레) 등으로 재탄생된다.


구는 이번 협약으로 단순 매립·소각되던 폐원단 처리량의 약 30%가 감소해 폐원단 처리에 들어가던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동대문구 봉제협회에서는 관내 봉제업체가 폐원단조각을 재질별로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보조하며, 구는 배출된 원단들이 적정하게 수집·운반·재활용될 수 있도록 재활용업체에 처리비용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폐원단조각 재활용 체계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행정지원 및 관련 제도 정비 등을 통해 적극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이필형 동대문구청장은 “지역 내 봉제업체의 폐원단 처리비용 부담을 줄이고, 생활쓰레기로 버려지는 원단을 재활용해 ‘자원의 선순환’을 가져올 이번 협약은 탄소중립도시로 나아가는 동대문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구는 2019년부터 동대문구에 소재한 약 1800개의 봉제업체에서 발생하는 폐원단을 고형연료로 재활용하는 사업을 꾸준히 추진해오고 있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