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사 불확실성 여전…자금조달계획 미리 세우고 대비해야"

제12회 여신금융포럼 개최

카드사를 포함한 여신전문금융사가 불확실성에 대비해 자금조달계획을 선제적으로 수립하고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6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2024년 여신금융업 현황 및 전망' 주제로 제12회 여신금융 포럼에서 축사를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여전업은 저금리 기조 속 외형 확대의 시기를 지나 내실을 다지며 재정비하는 시기를 보내고 있다"며 "지정학적 긴장 고조, 글로벌 긴축 기조 유지 가능성 등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상황에서 여전사들이 자금조달계획을 선제적으로 수립하고 취약 부문을 점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어려운 시기일수록 시장의 신뢰 확보를 위한 내부통제 재정비에도 노력해야 한다"며 "업권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한 금융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특성에 맞는 내부통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충실히 이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포럼에서는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 여신금융사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논의됐다. 오태록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내년에도 신용판매 부문 수익성과 대출자산 건전성은 고금리 지속과 소비 둔화, 누증된 가계부채 등으로 인해 올해 대비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것"이라며 "내년 금리 수준이 올해보다 낮아지더라도 고금리 도래 전 발행한 여전채 비중이 여전히 높아 이들 부채의 차환 등에 따른 조달비용은 올해보다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때문에 카드사들이 본업에서 수익성이 위축될 수 있어 새 성장동력을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연구위원은 "중장기적으로 가맹점과 소비자 결제 정보의 강점을 활용한 맞춤형 가맹점 서비스 발굴이나 개인사업자 CB 고도화 등 차별화된 성장 노력이 필요하다"며 "단기적으로는 마케팅 비용 등 영업비용 절감을 통한 수익성 제고와 함께 차주의 실질적 상환 부담을 고려한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캐피털사 역시 대비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세완 한국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내년 캐피탈 업권에서는 부동산금융 익스포저가 높은 업체들의 추가적인 건전성 저하 가능성이 있다"며 "자금경색 상황에서 유동성 대응능력을 제고하기 위해서 렌털자산 유동화 허용 등 대체 자금조달 수단을 다양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여신금융사의 수익성이 나빠졌지만 카드사는 온라인 쇼핑과 간편결제의 충격 속에서도 지급결제시장의 주도권을 지키고 있고, 캐피털사 역시 다른 금융 업권이 닿지 못한 곳에 필요한 자금을 공급하며 총자산 200조원을 달성했다"며 "여신금융협회는 여신업계의 혁신을 물심양면으로 지원하고 제도 개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1열 왼쪽 네번째부터 차례로 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사진제공=여신금융협회)

1열 왼쪽 네번째부터 차례로 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사진제공=여신금융협회)

원본보기 아이콘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