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별미 도루묵 어획량 급감, 왜?

어민, 비어업인 통발에 울상…'수온 상승' 영향도 상당

대표적인 겨울철 어종인 도루묵의 어획량이 최근 큰 폭으로 감소했다. 남획과 수온 상승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5일 강원도 해양수산국에 따르면 올해 11월 말까지 도루묵 어획량은 234t에 불과하다. 지난해 575t과 비교하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도루묵 구이. [사진출처=연합뉴스]

도루묵 구이. [사진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3년 평균 어획량은 1103t으로 매년 어획량이 급감하고 있다.


어민들은 산란을 위해 연안에 몰려온 도루묵을 통발이나 뜰채·투망 등으로 무분별하게 포획한 것이 자원 감소에 영향을 끼친다고 짚었다. 개인들이 가져온 통발에 수놈들을 다 잡아가 산란을 하지 못한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도루묵은 태어난 지 3년이 지나면 11월부터 다음 해 1월까지 큰 무리를 이루며 해조류가 풍부한 연안에 나타나 산란한다. 이에 겨울철마다 전국에서 도루묵을 잡으려는 낚시꾼이 동해안을 찾는다. 동해안 방파제와 갯바위·백사장 등에 모인 낚시꾼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도루묵 선별 작업. [사진출처=연합뉴스]

도루묵 선별 작업. [사진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기후 변화도 문제다. 강원도 해양수산국에 주간 어획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동해안의 연안 수온은 14.3~17.9도로 평년 대비 0.5~1.8도 상승했다. 11월 평균 수온은 2002년 12도에서 20년 만에 15도로 오르더니, 올해는 16도를 넘겼다.


전문가들은 수온이 상승하면 해조류의 군락지 면적이 좀 감소하는데, 도루묵은 그 알을 해조류에 붙이는 습성이 있어 산란 활동이 제약을 받을 수 있다고 봤다.


지자체도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며 대안을 찾고 있다. 강원도는 내년 3~4월 중 동해안 앞바다에 치어를 방류 계획이다. 또 올해 고성과 속초, 강릉에 도루묵 인공 서식지를 조성하는 등 자원 회복 사업을 다시 시작했다. 또 비어업인들이 통발로 산란기 도루묵을 잡는 것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