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경제 현안대응 임원협의회 출범

삼성전자, SK 등 주요 기업 20여개사로 구성

한국경제인협회가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 우리 기업의 실익을 확보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현안대응 임원협의회’를 출범했다. 삼성전자, SK, 현대자동차, LG, 포스코, 롯데 등 주요 기업 20여개사로 구성된 협의회는 앞으로 분기별로 정부 인사 및 전문가를 초청해 주요 글로벌 현안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고 공동대응을 위한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다.

박진 외교부 장관(앞줄 왼쪽 다섯번째),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앞줄 왼쪽 여섯번째)을 비롯한 글로벌 비즈니스 담당 임원들이 5일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글로벌 경제 현안대응 임원 협의회'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박진 외교부 장관(앞줄 왼쪽 다섯번째),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앞줄 왼쪽 여섯번째)을 비롯한 글로벌 비즈니스 담당 임원들이 5일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글로벌 경제 현안대응 임원 협의회'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원본보기 아이콘


한국경제인협회는 5일 오전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박진 외교부 장관을 초청한 가운데 글로벌 경제 현안대응 임원 협의회 출범회의를 개최하고 2024년 한국을 둘러싼 경제안보 환경과 한국경제 차원의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협의회 구성 20여개사의 글로벌 비즈니스 담당 임원들이 참여했다.


류진 한경협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동시다발적 전쟁 발발, 공급망 재편, 미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 각국의 보호주의 통상정책, 다양한 환경규제 신설 등 기업들의 입장에서는 대외 리스크가 뉴노멀이 된 상황”이라며 “빠르게 상황을 공유하고 함께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국제무대 속에서 팀코리아로 함께 움직이자”고 강조했다.

임원협의회 첫 회의에는 박진 외교부 장관이 특별연사로 참여했다. 박 장관은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과 우리의 대응방향’을 주제로 한 연설에서 우리 경제안보를 강화하고 민생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세일즈외교 및 경제안보외교 추진전략을 소개했다. 또 이를 위한 민관 소통·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봉만 한경협 국제본부장은 “글로벌 현안에 대해 기업간 협력 및 민관 공동 대응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글로벌 싱크탱크로서 한경협은 기업들의 원활한 글로벌 비즈니스 활동을 위해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