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스마트 국가산단 ‘정부 승인’…“연서면 일원 2029년 완공”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이하 스마트 산단) 조성이 국토교통부의 최종 승인을 받아 사업을 본격화한다.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위치도. 세종시 제공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위치도. 세종시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30일 세종시에 따르면 스마트 산단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세종도시교통공사가 공동으로 사업시행자로 참여해 연서면 일원 275만3000㎡(83만평) 규모로 조성한다. 완공은 2029년을 목표로 한다.

스마트 산단은 2018년 8월 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된 후 2020년 9월 예비타당성조사 등 관계기관 협의를 거쳤으며, 국토부의 최종 승인으로 스마트 산단 조성을 위한 모든 행정절차는 마무리됐다.


이에 따라 세종시는 앞으로 보상, 실시설계 등을 거쳐 2025년 말 착공해 2026년부터 토지공급 및 분양을 시작할 계획이다.


조성 후 스마트 산단은 연구개발과 실증, 기술창업 및 성장 등 모든 단계의 입지 수요를 충족시킬 융복합형 산단으로 운영돼 신기술·신사업 테스트베드로서 창업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세종시는 스마트 산단을 30년간 운영했을 때 경제적 편익으로 20조6000억원, 고용유발효과 1만9000명을 기대한다.


스마트 산단에는 단독·공동주택 3200여 세대와 유·초·중등 통합학교, 공원·녹지 공간 등이 함께 확보된다.


이를 통해 세종시는 스마트 산단이 일자리는 물론 정주, 교육, 혁신 기능을 아우르는 복합·다기능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 기업 유치를 위해 이곳에 경제자유구역 및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추진하고, 유망기업 투자펀드와 투자촉진보조금 지원 등으로 투자 기업에 세제감면, 규제특례 등 혜택을 제공하겠다는 것이 세종시의 복안이다.


스마트 국가산단 조성에는 1조6170억원이 투입된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스마트 산단은 세종이 자족경제도시로 성장하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면서 “스마트 산단을 매개로 신소재·부품산업을 육성, 충청권 산업 기반을 강화해 국가 산업경쟁력을 높이는 전략을 구사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