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아르헨티나와 사전 안전관리 위생약정 체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아르헨티나 정부가 사전 안전 관리한 제품을 수출하도록 '한-아르헨티나 수산물 위생약정'을 아르헨티나 국립농식품위생품질청(SENASA)과 10일에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주요 내용은 수출국 현지 제조시설에 대한 정부 기관(아르헨티나 국립농식품위생품질청)의 위생 안전관리, 수출국의 위생증명서 발행, 부적합 발생 시 사후 조치 등이다. 식약처는 아르헨티나 정부로부터 약정에 따라 생산단계부터 위생적으로 관리된 수산물 현지 제조업체를 통보받아 등록하고, 등록 업체에서만 수산물을 수입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수입 시 매 건 제품명, 수량·중량, 제조시설의 명칭·등록번호 등이 기재된 수출국 위생증명서를 첨부하도록 의무화했다. 식약처는 수입 수산물의 통관검사 결과 부적합이 발생하면 수입을 잠정 중단하고 아르헨티나 정부로부터 원인조사 결과를 통보받아 그 결과를 검토한 후 수입 중단 조치를 해제한다.

홍어삼합

홍어삼합

원본보기 아이콘

아르헨티나에서 수입되는 수산물은 연간 약 8000t이다. 냉동 오징어·홍어·가오리 등이 수입된다. 지난해 기준 아르헨티나산 홍어는 국내로 수입되는 홍어 수입 물량 중 가장 큰 비율(1위, 33.8%)을 차지했다.


식약처는 수출국 현지 생산단계부터 안전하게 관리된 수산물을 국내로 수입하기 위해 상대 수출국 정부와 '수산물 위생 약정' 체결을 확대 중이다. 우리나라와 수산물 위생 약정을 체결한 국가는 11개국으로 늘어나게 됐다. 11개국은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러시아, 에콰도르, 칠레, 노르웨이, 필리핀, 페루, 아르헨티나 등이다. 약정국가로부터 수입되는 물량은 전체 수산물 수입량(2022년 기준, 약 120만t)의 81%다.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