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재 "강상면 변경, 이미 문재인 정부 때 다 정해진 것"

국토부가 양평 고속도로 관련 가짜뉴스가 난무한다며 백지화를 선언한 가운데, 26일 국토부를 상대로 서울-양평 고속도로 특혜 의혹에 대한 국회 현안질의가 진행된다. 김정재 국민의힘 의원은 양평 고속도로의 종점을 강상면으로 바꾼 것이 대통령 처가 땅과 연관이 있는 것 아니냐는 더불어민주당의 의혹 제기에 "강상면으로 주장을 한 것은 이 처가 땅하고 상관없이 이미 문재인 정부 때 다 정해진 것"이라며 반박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김 의원은 26일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서 "용역을 착수한 것도 문 정부 때인데 이때 이미 강상면에 대한 대안을 제시를 하게 된다. 그러면 문 정부 때 김건희 여사 일가의 처가의 선산 땅에 혜택을 주기 위해서 이걸 바꿨다, 이거는 말이 안 되는 것"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문 정부 때 예타안이 통과가 됐다. 2019년에 예타가 시작되고 2021년 4월에 예타가 통과가 된다. 5월에 이미 강하IC를 요구하고 민주당 측에서 문 정부 때 민주당의 군수라든지 당협위원장이 이미 요구를 한다"며 "그리고 문재인 정부 때 발주를 2022년 1월에 한다. 1월에 할 때 이때 과업지시에 대안을 검토하라는 내용이 이미 팩트 관계로 딱 나오고 있다"고 했다. 모든 일이 문재인 정부 때 이뤄진 것이라는 설명이다.

용역 발주 역시 문 정부 때 이뤄졌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용역업체를 선정한 것도 문 정부 아니겠나"며 "업체가 선정돼서 전문가들이 우리는 이 용역을 하겠다라고 착수 보고를 한다. 거기도 대안 마련 강상면에 대한 게 이미 그때 다 나온다"고 했다.


민주당은 용역 발주가 윤석열 대통령 인수위 시절 이뤄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 의원은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것은 주무부처가 국토부"라며 "국토부의 문재인 정부의 공무원이 어디 있고 윤석열 정부의 공무원이 어디 있겠나. 그런데 계속 윤석열 정부 들어와서 갑자기 바뀌었다고 하니 부득이 문재인 정부라는 단어가 나올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 때 보통 타당성 조사를 시작하고 어떤 방향으로 가겠다 하는 착수보고서를 내게 되는데 이것이 어떻게 인수위 들어가자마자, 그 이전부터 작업해 오던 것들이 갑자기 용역업체들이 이걸 다 바꾼다는 건가"라며 "이 내용들이 환경성 문제라든지 구체적인 문제들이 하나하나 다 적시가 되기 때문에 숨기려야 숨길 수가 없다. 이걸 정쟁으로 이끌어간다는 자체가 말이 안 되는 것"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이날 진행될 국토부 현안질의에서 민주당이 '기승전 처가 땅'으로 갈 것이라며 팩트를 알리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처가 땅하고 상관이 없이 이 대안 노선과 예타안이 어떤 경로를 통해서 만들어졌고, 지금 주민들의 의견은 어떻고, 그 다음에 전문가들의 의견이 어떻고 이런 전체적인 이야기를 아주 팩트만 가지고 정확하게 얘기를 할 생각"이라고 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