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찐비트]AI 도입 본격화에 美 사무실 속 노사 충돌…'빅브라더' 출현 우려

노조 "일자리 상실 등 우려"
기업 "생산성 높여 경쟁력 확보"

편집자주[찐비트]는 '정현진의 비즈니스트렌드'이자 '진짜 비즈니스트렌드'의 줄임말로, 일(Work)의 변화 트렌드를 보여주는 코너입니다.

미국 정부가 생성형 인공지능(AI) 규제를 검토하면서 규제의 방향성을 놓고 기업과 노동단체들이 본격적인 힘겨루기가 시작됐다. AI로 생산성을 높이려는 기업과 이로 인해 일자리 상실과 감시 강화를 우려하는 노동자의 이해가 충돌하면서 사회적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1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최근 챗GPT 개발사 오픈AI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FTC가 조사 중 오픈AI가 다른 기업에 AI 시스템 접근 권한을 판매할 때 적용하는 정책에 대해 구체적으로 질문하면서 기업과 노동자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해당 질문은 다른 기업에 AI 시스템이 적용됐을 때 어떤 영향이 있을지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데, 조사 내용이 미 정부가 AI 규제를 만드는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특히 친노조 성향인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노동자들의 우려를 감안해 줄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된다. 노동계에서는 기업이 AI를 도입하면 일부 일자리가 사라지고 AI 기술이 자칫 노동자의 감시 도구로 활용돼 근무의 질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또 AI가 채용 과정에 적용되면 성별이나 인종 차별에 노출될 수 있다고 걱정한다. 실제 미 노동계 인사들은 지난 3일 직접 백악관 관계자들과 만나 여러 우려를 전했다.


반면 기업들은 AI로 문서를 작성하거나 전화 응대를 하고 맞춤 광고를 만드는 등 업무에 적용하면 그만큼 생산성과 수익성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AI가 일부 일자리를 대체할 수 있다면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 속도도 높일 수 있는 만큼 이를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다만 바이든 행정부에서 강도 높은 AI 규제를 내놓는다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곳에 적용을 하고 싶어도 규제에 막혀 도입하지 못할 수도 있어서다. 조던 크렌쇼 미 상공회의소 수석 부회장은 "규제의 불확실성과 과잉이 AI를 사회적으로 유익하게 사용하고 이를 통해 미국의 경쟁력을 갖추는 것을 방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WSJ는 "기업과 노동계가 미국의 직장에서 AI의 미래를 놓고 싸우고 있다"며 "FTC의 챗GPT 조사가 AI 규제를 도입하려는 미국 당국에 대한 시험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기업과 소비자가 AI라는 강력한 기술의 혜택은 누리면서 이로 인한 오용은 피할 수 있을지가 AI 규제 논의의 핵심"이라고 전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