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순방 마치고 우크라行 택한 尹, 재건·지원사업 구체화된다

우크라 측 방문 요청… 안전·방문 필요성 등 놓고 고민
부인 김건희 여사와 부차시 학살현장 및 이르핀시 방문
젤렌스키 대통령과 정상회담 예정… 세부 지원안 나올 듯

유럽 순방에 나섰던 윤석열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를 전격 방문했다. 경호와 안전 그리고 방문 필요성 문제를 놓고 고심 끝에 윤 대통령이 최종 결심한 것으로 부인 김건희 여사도 동행했다. 윤 대통령은 현지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재건사업 및 세부 지원안에 대한 논의에 나설 전망이다.


윤 대통령과 김 여사는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 인근 부차시 학살 현장과 민간인 주거지역으로 미사일 공격이 집중된 이르핀시를 돌아봤다고 대통령실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전사자 추모의 벽을 찾아 헌화한 후 젤렌스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다.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에서 국빈급 공식 방문 일정을 마치고 우크라이나를 전격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키이우 인근의 부차시 학살현장 관련 사진을 관람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열어 인도적 구호품을 포함한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사진출처=연합뉴스]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에서 국빈급 공식 방문 일정을 마치고 우크라이나를 전격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키이우 인근의 부차시 학살현장 관련 사진을 관람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열어 인도적 구호품을 포함한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윤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방문은 사전 예고 없이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윤 대통령은 나토 정상회의 기간 열린 정상 간 공식 만찬에서 젤렌스키 대통령과 조우했지만 순방 기간에도 우크라이나 방문 계획은 공개되지 않았다. 앞서 윤 대통령의 나토 순방 일정을 소개하는 자리에서도 대통령실은 우크라이나 방문 계획은 부인했다. 당시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우크라이나를 별도 방문하거나 정상회담은 계획에도 없고 현재 추진되고 있지도 않다"고 밝힌 바 있다. 윤 대통령은 12일부터 2박3일 간의 폴란드 순방을 마치고 귀국 예정이었지만 우크라이나로 향하면서 4박6일이었던 순방 기간도 연장됐다.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이번 방문은 우크라이나 측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 이에 따라 나토 순방을 준비하면서 조율에 나선 것으로 경호와 안전 그리고 방문 필요성 문제를 놓고 고심 끝에 윤 대통령이 최종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상대국 정상이 정중하게 방문 초청을 하는 것은 지금 국제사회의 초미의 과제인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대한민국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깔려있는 것"이라며 "그것을 담은 요청이라고 저희는 받아들였다"고 부연했다.


윤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렸던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계기로 가졌던 정상회담 이후 2달 만에 다시 마주 앉게 됐다. 당시 윤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지뢰제거 장비를 포함한 비살상물품 지원과 전후 복구 지원을 약속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과 이번 회담에서 인도적 구호품을 포함한 지원 방안 등을 추가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제2의 마셜플랜'으로 불리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대한 참여 의사는 이미 공식화됐다. 정부와 민간이 긴급 시설 복구 등에 약 520억달러(약 66조원) 규모의 지원을 추진할 방침으로, 최대 1000억달러(약 127조원)로 추정되는 우크라이나 주요 도시 재건 사업에도 참여한다. 수출시장 개척과 경제 활성화를 모두 만족하는 맞춤형 프로젝트로 정부와 민간의 '원팀' 체제로 시장 선점에 나서겠다는 게 정부의 복안이다.

윤 대통령은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과 정상회담 후 "한국과 폴란드가 우크라이나 재건에 있어 최적의 파트너가 될 수 있다는 점에 공감했다"며 "오늘 체결된 우크라 재건 협력 양해각서는 양국 기업간 협력을 확대해 나갈 좋은 기반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한국과 폴란드, 우크라이나 3각 협력 체계가 틀을 잡아가기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 폴란드는 우크라이나 최인접국으로, 전후 재건의 허브가 될 가능성이 높다. 윤 대통령이 이번 폴란드 방문에서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를 추진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을 만나 정부 지원 방안도 논의했다.


주요 도시 재건 계획 중 첨단 도시 시스템의 밑그림을 그리는 1000억달러 수준의 '키이우 스마트시티 마스터 플랜' 시장에도 뛰어든다. 정부와 민간이 발 빠르게 준비한다면, 첨단 교통 체계와 스마트 물 관리 등 다양한 사업을 선점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맞춰 한국과 폴란드는 오는 9월부터 차관급 협의체를 구성해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 사업을 발굴·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폴란드 바르샤바에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플랫폼을 설치해 정부와 민간의 신속한 정보 교류도 지원하기로 했다.





바르샤바=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